d라이브러리
"패리티"(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약력(weak force)이 있다. * CP 대칭성 깨짐 (Charge-Parity Violation) : 전하켤레 대칭(C 대칭)과 패리티 대칭(P 대칭)을 합한 CP 대칭이 보존되지 않는 현상. CP는 입자를 반입자로 또는 반입자를 입자로 바꾸는 변환으로 같은 수의 입자와 반입자가 존재하면 CP 대칭을 이루고, 그렇지 않으면 CP 대칭성 깨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비트를 ‘패리티 비트’라고 합니다. 섀넌과 같은 시기에 살았던 수학자 리처드 해밍은 패리티 비트를 활용해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해밍 코드’를 개발했습니다. 트와이스가이를 알았더라면 아마 가사도 지금과는 다르지 않았을까요? ‘해밍 코드로 보내~, 코드로 보내~’ 원소가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즉 시간 반전(T를 -T로)과 전하 반전(+를 -로), 비대칭 반전(좌우를 바꾼 뒤 반전하는 패리티 반전)을 이용해서 변환했을 때 대칭성을 갖는지 알아보는 것이다.시간과 전하, 비대칭 반전에 대한 대칭성은 입자물리학에서 많이 쓰는 기법이다.새로운 게임, ‘양자물질 테이블’을 채워라양자물질과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대칭성이다. 예를 들어 공간을 거울에 놓고 반전시켰을 때 물리 법칙이 그대로 유지되면 패리티대칭(P대칭)이다. 또다른 대칭으로, 우리가 아는 입자(그리고 암흑물질의 입자)에는 반입자가 있고 이 둘이 정확하게 1:1로 대응한다는 대칭이 있다. 이 대칭은 켤레대칭(C대칭)이라고 불린다.당시의 ...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다시 더 많은 데이터를 모아야 한다.힉스 입자의 대표적인 성질은 스핀이 0이라는 점과 ‘패리티’라는 일종의 대칭성을 가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번 발표는 바로 이 두 가지 특성을 확인했다는 내용이다. LHC는 2012년의 모든 데이터(작년 7월 시점에 비해 2.5배 수준)를 그러모아 분석한 결과 이 입자가 ...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보내면 데이터를 받았을 때 중간에 깨진 것인지 아닌지를 알 수 없다. 그럴 때 이 패리티 비트를 이용해서 오류를 검사한다. 이 과정에 높은 수준의 수학적 방법이 쓰인다.“휴대전화에서 음성 데이터를 보낼 때도 이런 부호화 과정을 거쳐 보내고 수신 쪽에서도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하고 음성을 ...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않는다)는 이론이 제기됐다. 당시 입자물리학의 큰 수수께끼 중 하나였던 하나의 입자가 패리티가 양인 경우와 음인 경우로 모두 붕괴하는 문제를 풀다가, 1956년 두 젊은 중국인 이론물리학자 리와 양은 약한 상호작용에서 P대칭성이 깨질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커다란 발상의 전환이었다 ... ...
- 2. 가속기가 열어온 입자물리학 50년과학동아 l2000년 08호
- 리와 양이라는 두 중국인 이론학자들이 ‘사실 이 두 입자는 같은 입자인데 약력에서는 패리티 대칭성이 깨진다’고 하는 가설을 통해 해결된다. 이 예측은 바로 우여사가 핵의 베타 붕괴실험을 통해 검증했고, 물리학자들은 대칭성 보존의 신앙을 포기하게 된다.그 이후 물리학자들은 공간 반전과 ... ...
-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이 문제를 풀기 위해 1956년 리 쭝따오와 양 첸닝은 약한상호작용에 관한 실험 중에 패리티 대칭성(좌와 우의 정의를 서로 바꾸어도 물리법칙이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험이 그 때까지 없었음을 지적했다. 또다른 중국인 물리학자였던 우는 실험을 통해 약한상호작용은 실제로 왼쪽과 ... ...
- 2. 과학분야 노벨상 궁금증 이모저모과학동아 l1998년 11호
- 언급되고 있다.업적 인정에 몇년 걸리나?첸닝 양과 리슝타오는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非)보존에 관한 연구로 1957년 물리학상을 수상했는데, 이들의 연구는 바로 그 전해에 발표된 논문이 인정받은 경우다. 이들은 논문을 발표한지 약 10개월만에 노벨상을 받았으니 초고속 수상에 해당한다.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