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피난처"(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수단에 의지해 현실 세계의 상황과 단절된 방주 속 사람들도 위태롭긴 마찬가지다. 피난처이자 감옥인 셈이다. 이 작품 속의 단절된 이분법적 세계는 더 이상 위기를 피할 수 없는 인류의 막다른 미래다. 그와 동시에 이런 미래로 향하는 현재 속에도 이미 이런 도피와 외면의 이분법이 작용하진 ... ...
- [과학뉴스] 이끼도롱뇽, 빙하기 추위 피하다 한국에 눌러앉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남방 피난처였던 거죠. 전종윤 연구원은 이를 토대로 “빙하기에 온난한 기후의 피난처를 찾아 다니다 한국에서만 살아남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어요. 덧붙여, 지구사랑탐사대 도롱뇽 연구자인 전종윤 연구원은 “지사탐처럼 시민들의 힘을 합할 때 우리나라가 생물보전의 강국이 될 수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가까이 사는 사람들도 수백 km는 떨어져 있었다. 쇄빙선은 우리의 집이자 가장 안전한 피난처였다. 빙산과 세찬 눈이 만들어내는 기묘한 풍경 속에서 헤드램프와 손전등으로 측정소를 비춰보곤 했다.우리의 탐험 목표를 요약하면 부빙에 측정소를 설치하고, 측정하고, 1년 뒤에 돌아가는 것이다. ...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보고 피부로 느끼는 것과는 다르다는 한계를 느낍니다. 프로스트는 인간의 마지막 피난처를 탐사하다가 남반구의 관리자인 베타를 만납니다. 베타는 자신의 영역에 침입한 프로스트를 쫓아내지만, 곧 자신도 프로스트의 연구에 관심을 보입니다. 프로스트는 베타에게 자신이 가진 모든 자료를 보내 ...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NASA 매니저는 “우주선 내 압력 저하와 같은 위험한 상황에서는 우주복이 우주인의 피난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파란색과 붉은색, 흰색이 섞여 미국의 성조기를 연상케 하는 xEMU는 50년 전 아폴로 우주인이 입었던 우주복과 외형은 비슷해 보이지만 기동성은 크게 향상됐다. 실제로 1969년 7월 20일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겁니다. 과연 생존자는 실제로 있었던 걸까요?딸은 혼란에 빠져 고민하다가 결국 피난처로 돌아갑니다. 마더는 자신이 단순한 로봇이 아니라 다른 모든 로봇을 제어하는 인공지능이라며 인류의 자멸을 막기 위해 이런 일을 벌였다고 밝힙니다. 정체불명의 여자가 등장한 일까지 모두 마더의 ... ...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접었다 펼 수 있는 건물이다. 작게 압축해 헬리콥터 등으로 구호 현장으로 운반해, 임시 피난처 같은 식으로 쓸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Part 3. 지진으로 인한 ... ...
- Part 3. 소행성의 흔적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토양에 비해 구멍이 더 많았어요. 연구팀은 이 구멍이 충돌 당시 살아남은 생물들의 피난처가 되었다고 주장했어요. 구멍에 작은 크기의 생물들이 서식하고, 덕분에 다른 생물이 이를 먹이로 삼았다는 거예요. 조안나 교수는 “공룡을 멸종시킨 소행성이 다른 동물들을 살렸다는 점이 놀랍다”며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엄마의 계획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내쉬었다. 전에는 학교 밖으로 땡땡이치지 못해서 안달이었는데, 이제는 학교가 유일한 피난처였다.‘자, 이제 암호를 풀어볼까?’하림은 큰 종이에 숫자열을 써 놓고 뚫어져라 쳐다보았다. 0과 1로 되어 있는 8자리 숫자가 4개, 3자리 숫자가 1개 있었다. 숫자 8개마다 ‘/’로 나뉘어 있어 하림은 /의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난 2007년 미국 듀크대 의학센터의 윌리엄 파커 교수팀은 충수가 유익한 장내미생물의 피난처라는 연구 결과를 ‘이론생물학저널’에 발표했다. 대장이 병을일으키는 미생물에 감염된 경우, 설사로 대장이 깨끗하게 비워지고 나면 충수에 숨어 있던 기존의 미생물들이 나와 다시 원래대로의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