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연성"(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무너져갔다.불완전성 정리는 ‘양상 논리(Modal Logic)’로까지 확장되는데, 이는 명제를 필연성, 가능성, 불가능성으로 나눈 논리 체계다. 예를 들어 ‘나는 곧 집에 갈 것이다’라는 명제가 있다면 나는 아직 집에 가지않았으니 참이라고 할 수 없지만, 곧 갈 수도 있으니 거짓이라고 할 수도 없다. ...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1817년에 올베르스에게 보낸 편지에 이런 내용도 있다. “나는 점점 더 유클리드 기하학의 필연성을, 인간의 이성으로도 인간의 이성에 대해서도 증명할 수 없다는 확신을 얻게 되었습니다. 어쩌면 다른 세상에서는 공간의 본성에 대한 통찰을 얻을수 있게 될지 모르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1824년 ... ...
- 올 겨울 고비 맞는 신종플루 궁금증 6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연구결과나 증거가 나오지 않았다”며 “미성년자에게 투약할 때 주의해야 하지만 필연성은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게다가 타미플루를 예방 목적으로 사용하려는 사람들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신종플루 예방 백신은 몸에 항체를 형성시켜 앞으로 6개월간 체내에 침입하는 바이러스를 ... ...
- 1. 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인가?과학동아 l2006년 08호
- 과정에서 우리 것의 소중함을 일깨우며, 우리 것을 더 좋은 것으로 지키고 가꿔야 한다는 필연성을 인식시키려는 가르침으로 이 말이 쓰이고 있다. 그런데 혹시 이 말은 세계화가 필수적인 이 시대를 역행하는 시대착오적인 부르짖음은 아닐까.‘신토불이’는 혹시 미신이 아닐까? 우리나라 사람이 ...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인류에게 무차별 핵공격을 감행한다. 그러나 영화는 스카이넷이 인류를 공격해야만 하는 필연성을 보여주지 못했다. 스카이넷이 자신을 자각했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전부였다.인간과 기계의 전쟁은 ‘매트릭스 2’의 연결 고리인 ‘애니 매트릭스’에서 상세하게 다뤄지고 있다. 매트릭스 시대 ... ...
- 자크모노의 우연과 필연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있으며, 동일한 원인은 동일한 결과를 이끈다는 믿음에서 비롯됐다. 그리고 이러한 필연성의 근저에는 신-인간-자연이라는 관계가 가정돼 있다.인간은 천태만상의 다양한 자연현상을 연구하고, 여기서 얻어지는 지식은 현상에 숨겨져 있지만 항상 작용하고 있는 질서와 법칙을 발견하는 것이다. ... ...
- 리프킨의 엔트로피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읽은 후, 우리는 지난 수백년 간의 눈부신 과학기술 및 물질문명의 발전에 대해 그것의 필연성과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정녕 발전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 던져 보게 되는 것이다.지나친 확대해석도하지만 엔트로피를 기초로 한 리프킨의 문명비판은 때론 지나치게 편향적이고 ... ...
- 법학-죽는 사람에게도 권리 있다과학동아 l1995년 12호
- 미명하에 은폐될 위험성이 크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장기이식 특별법 제정의 필연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의술의 발달로 살려낼 수 있는 생명은 더 많이 살려 내야 한다. 그러나 죽어가는 뇌사자의 생명도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한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 ... ...
- 인체 '부품'도 재활용 시대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인정토록 한다는 '뇌사 인정법'을 연내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뇌사인정의 당위성과 필연성을 인정하면서도 한편으론 입법에 앞서 풀어가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뇌사를 오래 전에 법제화, 장기이식이 깊게 뿌리내린 선진 외국서도 최근 들어 장기수급의 불균형과 장기기증의 ... ...
- 3 '자연으로 돌아가자' 가치관 절실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인간의 최고 욕망인 늙지 않고 병들지 않는 신통한 묘수도 나올 것 같다.과학기술 발전의 필연성과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문득 '이것이 정녕 발전이란 말인가' 하는 회의가 고개를 드는 것이 사실이다.유례없이 풍요로운 물질문명에 탐닉했으되 무언가 잘못되고 있다는 깨달음은 이미 60년대에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