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19"(으)로 총 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doi: 10.1111/cpr.12729그렇다고 희망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프레져 교수팀은 2019년 11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그동안 비활성 상피 세포로 알려져 있던 치아 잔여 조직(DLRs勫ental Lamina Rests)이 치아를 활발하게 재생하고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DLRs의 일부 활성화된 세포가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않은 학술지에 출판된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과학동아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5년간 노벨 과학상을 수상한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 성과가 발표된 논문을 분석했다. 분석에 활용된 논문은 노벨 위원회가 이들의 핵심 논문으로 소개한 논문 중에서 가장 출판 시기가 ... ...
- [최신 이슈] 신약 개발에 불어온 새 바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특별한 이유는 생성형 AI ‘GENTRL’을 이용해 46일 만에 후보물질을 찾아냈기 때문이다. 2019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후보물질을 찾았다는 결과를 보고한 뒤 18개월 만에 임상에 들어간 초고속 개발 과정 덕에 과학기술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doi: 10.1038/s41587-019-0224-x 생성형 AI를 ...
-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액체일까, 고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그 한 가지 이유는 사람의 말을 듣지 않기 때문이다. 이해하지 못하는 게 아니다. 2019년 아츠코 사이토 일본 도쿄대 인지행동과학과 교수팀은 고양이 카페에서 78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이름을 부르며 실험해, 고양이들이 자신의 이름을 알아 듣지만, 단지 무시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떠오를 거라는 소식은 이제 새롭지 않다. 먼 미래 이야기도 아니다. 2019년엔 IBM, 2020년엔 중국과기대가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로도 계산할 수 없는 결과를 내놓았다.doi: 10.1038/s41586-019-1666-5, doi: 10.1126/science.abe8770 ‘양자우위’라고 불리는 ...
- [기획] 회전하는 우주기지에서 중력을 느끼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느낄 수 있다” 고 말했습니다.회전하는 우주정거장에서 살아도 건강은 괜찮을까요.2019년 일본 연구팀은 ISS에서 사육한 쥐의 생식 능력을 평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중 일부 쥐는 회전하는 사육장에서 35일 동안 지내며 지구와 같은 수준의 중력을 받았습니다. 인공중력을 받은 쥐는 ... ...
- [엣지사이언스] 인공지능 개발, 진짜보다 나은 가짜 데이터과학동아 l2022년 05호
- 결과, 실제 매사추세츠주에서 보고된 비율과 통계적으로 유사했습니다. doi: 10.1186/s12911-019-0793-0 GAN을 활용해 만들어낸 합성데이터는 정교함 또한 상당 수준 갖춘 것으로 평가됩니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연구팀은 1만 개의 실제 이미지로 GAN을 이용해 신장 세포 암종의 이미지를 생성했는데요.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과학으로 어루만지는 마음의 병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밝혀내지난해 10월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가 발표한 ‘국가 정신건강현황보고서 2019’에 따르면 국내 성인남녀의 11.2%가 우울감을 경험한 적이 있고, 25.4%는 평생에 한 번 이상 정신 질환을 앓은 적이 있다. 현대인들 사이에서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중독 같은 정신 질환을 겪는 것은 특별한 ... ...
- 베스트셀러 소재의 새로운 사후세계에 관한 세 가지 고찰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높아졌다. 서상원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브렌 환경과학 경영대학원 교수팀은 2019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2015년 한 해 동안 플라스틱 제조, 제품 생산, 폐기 등으로 전 세계 플라스틱 산업이 배출한 온실가스가 17억 8100만 tCO2eq이었다고 보고했다. 연구팀은 세계 플라스틱 ... ...
- 수소차의 심장, 수소연료전지 기술의 최전선과학동아 l2021년 08호
-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아연과 질소, 탄소로 백금을 대체할 촉매를 만들어 2019년 6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X선 흡광 분석기를 이용해 산소 환원 반응이 잘 일어나도록 돕는 촉매 구조를 찾았다. 아연과 질소원자가 1:2의 비율로 결합할 때가 가장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