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bacteria"(으)로 총 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전물질을 단백질이 둘러싼 단순한 구조라는 점부터 다르다. 혼선의 주범인 박테리아(bacteria)는 세균을 영어로 표기한 것이다. 바이러스(virus)와는 알파벳 첫 글자부터 다르다. 결국 이들의 관계를 종합하면 ‘바이러스≠세균=박테리아’으로 요약할 수 있다. 바이러스와 세균은 유전물질을 갖고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비용과 시간이 들어간다. 그래서 고안된 기술이 정화조에 황산화세균(Sulfur-Oxidizing Bacteria, SOB)을 주입해 악취의 주원인인 황화수소(H2S)를 황산염(SO42-)으로 분해하는 방법이다.이것은 대기 중 황화수소 농도를 1ppm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정화조 내부뿐만 아니라 생활하수가 하수관 내부에서 흐를 때의 ...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유익한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An enteric virus can replace the beneficial function of commensal bacteria).’ 바이러스 전문가인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에게 의견을 물었다.“무척 흥미로운 연구입니다. 바이러스가 장내세균처럼 우리 몸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뜻이에요.”“바이러 ...
- Armadillos and Human Leprosy과학동아 l2011년 06호
- association between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 presence of this particular strain of M. leprae [a strain of the bacteria that causes leprosy] and the presence of armadillos in the Southern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있음을 알린 신호탄이었다.[Our data suggest that a signifi cant proportion of the resident human bacteria fl ora remain poorly characterized, even within this well studied and familiar microbial environmen ...
- First Synthetic Life Form과학동아 l2010년 08호
- the achievement heralds the dawn of a new era - an era in which new life is made to benefit humanity, starting with bacteria that churn out biofuels, that soak up carbon dioxide from the atmosp ...
- 절대 터지면 안 되는 ‘열통 터진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메탄올, 에탄올로 변하지. 그러면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신트로픽 박테리아(syntrophic bacteria) 같은 메탄 생성균이 이 산들을 메탄과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수증기 같은 기체상태의 혼합물로 바꾼대. 간만에 이공계 출신 남자친구 노릇 좀 한다.그렇지?가축분뇨 저장소는 재래식 화장실과 비슷한 ... ...
- 가축 분뇨에서 바이오가스 만든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이 분뇨에서 메탄가스를 만든다.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 신트로픽박테리아(Syntrophic Bacteria), 메타노사르시아 바르케리(Methanosarcia barkeri ) 같은 혐기성 미생물은 유기물을 섭취해 탄화수소나 유기산, 질소화합물 등을 분해시키고 탄산가스나 메탄가스를 방출해 폐수를 처리할 때 이용된다. SCB ..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과학동아 l2006년 01호
- 아니다. 세균에 기생해 살아가는 바이러스를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라고 한다. 세균(bacteria)을 잡아먹는다(phage)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이다.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의 막을 뚫고 자신의 유전자를 주입해 세균 안에서 바이러스 유전자와 단백질 껍질을 복제한다. 수많은 개체로 늘어난 박테리오파지는 ... ...
- Ecosystem, Typhoo, Plant, Bacteria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9호
- 생태계는 인간이 좌지우지할 수 없다는 것을 느꼈나요? 과학의 발전으로 인간은 예전보다 편한 생활을 누리고 있지만 인간의 욕심 때문에 생태계의 다른 생물들은 고통받고 있답니다. 멸종된 생물도 수두룩하지요. 인간이 편하기 위해서 자연에 준 고통은 부메랑처럼 다시 인간에게 돌아온다는 사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