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음영"(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기자단 현장미션]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기술, 그것이 알고 싶다!기사 l20250503
- 달에 사람을 보내는데 그치지 않고 정착시키는 것까지 목표를 둬 물이 필요하기때문에, 달의 크레이터 중 햇빛이 들지 않은 영구음영지역에서 물 (얼음) 이 존재한다고 예상해 그 어두운 지역을 찍을 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다누리를 통해서 착륙지 선정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협력하는 것만큼 독자적으로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 ...
- 우주항공의 어벤져스 멤버가 되고 있는 항우연(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50427
- 특별한 카메라입니다. 달에는 햇빛을 받는 부분도 있지만 받지 않는 부분도 있고, 특히 크레이터 중 영원히 햇빛이 닿지 않는 영구 음영지역이 있는데 과학자들은 이곳에 얼음 형태로 물이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은 생명체에게 꼭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다누리는 2028년까지 열심히 임무를 수행하다 수명을 다하면 달과 충돌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 우주기자단 첫 번째 현장미션: 대한민국 과학축제기사 l20250425
- 발사합니다. 발사지 1순위는 제주도였으나, 그래도 바다와 근접한 고흥에서 발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아르테미스 계획과 영구음영지역등 많은 과학 용어들을 알게되었습니다. 부스에서 사진도 찍었습니다. (출처- 직접 촬영- AI가 사람을 지워줘서 이렇게 되었습니다. 어떤가요?) -우주기자단 첫 번째 현장미션을 마치며- 이번 대한민국 과학축제에서 ...
- [우주기자단] 제6회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을 다녀와서기사 l20250424
- 이용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달에 거주하려면 무엇보다도 물이 있어야 합니다. 달의 크레이터에는 햇빛이 영원히 닿지 않는 영구 음영 지역이 있는데요, 과학자들은 이곳에 얼음 형태로 물이 존재할 것이라고 추정합니다. 다누리의 섀도우 캠은 이런 어두운 곳의 사진을 찍기 위해 개발된 것입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다누리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들어 정말 ...
- -부산 벡스코기사 l20240831
- 발사 되었는데 발사 이후 2023년 1월부터 달 주변을 회전 중이라고 합니다. 다누리는 감마선 분광기, 우주인터넷탑재체, 영구음영지역카메라, 고해상도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진을 자세하게 찍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미션 수행 중에 있을 때 달의 표면 모사토를 재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회장암, 올리빈, 감랑석, 티탄철석 등 여러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우주강의를 듣고기사 l20240830
- 우주쓰레거도 매우 많아졌다. 우리나라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에 참가 했다. 다누리호에 영구음영지역카메라가 설치했다. 영구음영지역카메라는 얼음을 찾는 카메라라고 한다. 한화는 로켓에 필요한 모든 부품을 만든다고 한다. 여를 들어 로켓엔진등을 만든다고 한다. 지난번 나로호 우주센터에 가봤는데 거기서 로켓에 크게 "한화"라고 적혀 있어서 ...
- 기사 l20240623
- 있는지를 탐사하는 것입니다. 먼저 저희는 다누리 탑재체를 알아보았습니다. 다누리에는 감마선 분광기, 우주 인터넷 탑재체, 영구음영지역카메라, 자기장측정기, 광시야편광카메라, 고해상도카메라가 달려있습니다. 다누리에 실려있는 감마선 분광기는 달 표면의 자원 탐사를 위해 감마선 분광 측정을 한다고 합니다. 감마선은 방사선의 일종으로 고에 ...
- 대한민국 우주개발 1번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40623
- 있어 “지금까지 다누리가 발견한 가장 인상적인 연구성과는 무엇인가요?”라고 여쭤보았어요. 박사님께서는 다누리에 탑재된 영구음영지역 카메라로 찍은 달 뒷면이라 답하시며 전 세계 유일한 영상을 촬영하는 달 탐사선이라 하셨어요. [출처: 항우연 홈페이지] 이 사진이 달 뒷면인데, 태양빛이 전혀없는 달의 뒷면에는 달 주변을 지나가는 혜성에서 유 ...
- 달에도 물이 있어요!! 중국 달 탐사선 창어 5호가 발견한 유리 구슬!기사 l20240619
- 달 탐사선 창어5호, 달 토양 샘플) 2020년 12월에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 '창어 5호'가 태양빛이 들지 않아 계속 그늘지고 어두운 영구음영지역에서 달의 토양을 채취하여 지구로 들고 왔습니다. 달 표면에서 채취한 토양을 분석했더니 작은 유리 조각 117개나 발견했다고 합니다. 이 유리 구슬을 가열시키면 물이 추출된다고 하는데 이해가 어 ...
- (현장미션)이제 우주개발의 시대가 아니라 우주활용의 시대이다.기사 l20240619
- 더 차오르는 호기심으로 손을 들고 여쭈었습니다. "달에도 식물을 키울 수 있나요?" "달에는 태양의 열기가 닿지 않는 극지방에 영구음영지역이 있는데 그 곳에 얼음이 있어서 식물을 키우는 연구를 중국에서 하고 있어요. 빛이 닿지 않는 어두운 곳에서 영상을 촬영할 쉐도우 카메라가 세계 유일 다누리에 탑재되어 있다고 하니 연구결과가 언젠가는 나오겠죠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