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장애"(으)로 총 5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저 중2병이 일찍 온것인가요?(오글주의)포스팅 l20251110
- 그랬으면서 목소리 짜증나 내가 뭘 잘못한거지 다음부터 그러지 마랑 말 짜증나 겁나 한심해"같은것 말이죠..범위가 넓어서 좀 지체장애 있는 동생이나 그런 존중받아야 할 부류부터 소설가처럼 진짜 따라야 할 교훈 넣었던 사람까지 진짜 넓은 부류의 사람들이 제가 알지도 못하면서 너무 한심해요.심지어 저까지 포함해서요.모두가 너무 한심해보여요.제가 그동 ...
- 저 나쁜건가요...포스팅 l20251104
- 거기에 토를 할 수도 있고 침을 흘릴수도 있고 소변을 볼 수도 있다는데..이해해달라고 하셔서 알겠다고는 했는데 진짜 너무 싫습니다.장애아동이어서 싫다는게 아니고요 그냥 제 자리에 누군가가 앉아서 간다는게 진짜 너무너무너무 싫습니다.제 자리는 제자리였으면 좋겠어요. 제가 그냥 편하게 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하... 저 나쁜걸까요.,, .. ...
- 저 요즘 학교 남자애들 때문에 너무 힘들어요포스팅 l20251018
- ...... 저 어떡하죠 진짜 이런 일 처음이라서 어떻게 해야 될지를 모르겠어요 너무 무서워요... 걔네는 싫어하는 애들한테 대놓고 장애라고 하고 아프다고 하고 지우개 조각낸 거 던지고 그러는 애들이거든요... 지나가면서 일부러 따지기도 애매하게 혼잣말처럼 "X신" "찐따 ㄴ들이 X나 나대네" 이러면서 일부러 저한테 그러기도 하고.... 선생님 ...
- [기사콘챌린지]생활 속에서 쉽게 볼수있는 점자기사 l20251015
- 점자는 생활 속에서 쉽게 볼 수있어요. 지폐에도 점자가있어요. 시각장애인이 지폐를 구분할 수 있는 건 지폐에 점자가 있기 때문이예요. 또한 엘리베이터 버튼에도 점자가 있어서 층을 구별할 수 있어요. 이처럼 점자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예요. ...
- 기사콘챌린지, 책에도 있는 점자!기사 l20251011
- 안녕하세요~ 신수아 기자입니다. 저는 기사콘 챌린지에 나온 점자를 찾으려고 도서관에 갔는데요, 그 내용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네, 사진은 제가 직접 점자 책의 표지를 찍은 사진인데요, 제가 빌린 책의 제목이 점 ... 책 내용을 보았는데요, 정말 복잡한 내용인데도 잘 나타나있는 점이 신기했던것 같습니다. (느낀점) 이번 기사를 쓴 느낌은요, 내가 시각 ...
- 키보드 고르는 것 좀 도와주세요.!포스팅 l20251008
- 1번:식빵 때문에 날아간 강아지 키보드단점:움직여서 혼란스럽 2번 금붕어 키보드 / 심플함 어때요? 어떤게 더 예쁘나요?전 결정장애 와서... ...
- [기사콘 챌린지]기사 l20251005
- 있다고 해요. 우리가 자주 먹는 음료수 캔에도 점자가 있다는 사실이 무척 신기했어요! 출처: 경향신문 그리고 이런 점자 블록도 시각장애인분들이 길을 찾고 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점자랍니다. 출처: AbleNews 마지막으로, 아래와 같이 박물관 유물 옆에 같이 점자로 설명을 해주는 역할을 하는 점자도 있어요.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이렇 ...
- [기사콘 챌린지]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점자기사 l20251003
- 출력하고, 그다음에 점역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교정을 하면 점자책이 완성됩니다. 하지만, 아직 점자책은 많지 않기 때문에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점자책을 더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사진 출처:연합뉴스) 이상으로 점자가 우리 생활에 활용되는 예시 3가지를 소개했습니다. 우리 생활에 점자가 사용되는 경우는 기사에서 소개된 것보다 훨씬 많습 ...
- [기사콘챌린지] 맹인과 점자기사 l20251003
- 글자를 만들려면 초성 + 중성 + 종성 = 곰이 됩니다. (이미지 봐주세요) 또한 점자 정보 단말기가 있습니다. 전혀 볼 수 없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조 기기로 촉각 & 청각으로 정보를 전달합니다. 점자 노트북으로는 시각 정보를 점자로 출력하고 음성으로 들려줍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점자를 일반인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
- 호기심과 꾸준함으로 이룬 전국과학전람회 본선 진출기사 l20250905
- 발전하게 되었다. 3. 감정 인식 스마트 안경, 실패 속에서 얻은 성장 이번 연구는 발명대회 상금을 기부하는 과정에서 만난 시각장애인의 한마디에서 출발했다. “네 기쁜 표정을 볼 수 없어 아쉽다”는 말은, 표정을 볼 수 없는 사람에게 감정을 전해 줄 방법을 고민하게 만들었다. 이에 라즈베리파이와 카메라, 인공지능을 활용해 얼굴 표정을 인식하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