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
강아지새끼
도그
뉴스
"
개새끼
"(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존율 결정짓는 '작은 유전자 조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매우 작은 크기의 유전자 조각 하나만 몸속에서 사라져도 건강과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 연구팀이 동물실험을 통해 생존율을 결정짓는 작은 유전자 조각을 발견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김은준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KAIST 생명과학과 석좌교수) 연 ... ...
영화 '혹성탈출'이 허구일까…다친 동료에 약초 바르는 침팬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5.19
우간다 부동고 숲에서 침팬지가 다른 침팬지를 보살피고 있다. 최근 인간과 닮은 영장류의 새로운 행동이 잇따라 확인되고 있다. 인간 고유의 특성으로 여겨졌던 행동이 인간과 영장류의 같은 조상으로부터 유래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엘로디 프레이만 제공 최근 인간과 닮은 영장류의 새로운 행 ... ...
[동물do감] 피 안 섞인 친구 새끼도 정성껏 돌보는 찌르레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5.08
호사찌르레기. 위키미디어 제공 호사찌르레기(Superb Starling)는 수년에 걸쳐 친구의 육아를 돕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동물은 혈연 관계 중심으로 상호 협력 관계를 형성한다는 통념을 깨는 결과다. 더스틴 루벤스타인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케냐에서 호 ... ...
[동물do감] "뭉치면 두렵지 않아"…보노보 암컷의 높은 서열 유지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보노보.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람과 유전자의 98.7%를 공유하는 보노보는 암컷 중심의 공동체를 이뤄 살아간다. 암컷은 수컷보다 몸집이 작지만 수컷보다 서열이 높다. 암컷이 수컷보다 높은 서열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가 암컷이 연대하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마틴 서벡 미국 하버 ... ...
두루미, 철원의 논을 인간과 나누다
과학동아
l
2025.03.01
과학동아 제공 지난 1월 14일 오전 10시 강원도 철원 양지리, 초소를 지나 북한이 바라보이는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안쪽으로 들어오자 마른논과 비닐하우스 위를 서리가 하얗게 덮은 광경이 펼쳐졌다. 어떤 서리들은 아직 빛나고 있었고 어떤 서리들은 녹아내리고 있었다. 그 사이로 '꾸룩꾸 ... ...
육식동물 소화기관 가진 판다가 고기 안먹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자이언트 판다가 대나무를 섭취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판다는 육식동물의 소화기관을 갖고 있지만 고기를 먹지 않는다. 그 이유는 대나무에 들어있는 특정 분자가 판다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기 때문일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펭 리 중국 서부사범대 생명과학대학 교수 ... ...
'아빠만 둘'인 생쥐, 처음으로 성체까지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중국 연구팀이 두 수컷 쥐의 유전자를 결합해 태어난 새끼 쥐를 처음으로 성체까지 키우는 데 성공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생물학적 아버지가 둘이고 어머니가 없는 쥐가 처음으로 성체까지 자랐다. 발달 과정에서 장애가 생기는 문제를 정교한 유전자 교정 기술로 극복했다. 리쯔쿤 중국과 ... ...
시베리아서 역대 가장 잘 보존된 '아기 매머드' 사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러시아 시베리아의 야쿠티야(사하 공화국)의 영구동토층에서 5만년 전 아기 매머드 사체가 발견됐다. 러시아 북동연방대 제공 혹한의 추위로 유명한 러시아 시베리아의 야쿠티야(사하 공화국) 영구동토층에서 5만년 전 아기 매머드 사체가 발견됐다. 영구동토층은 1년 내내 얼어있는 땅으로 땅 속 ... ...
배터리 소재 '리튬', 자폐증 치료에도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은 기분 장애의 일종인 양극성 장애 치료제로도 쓰인다. 리튬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이하 자폐증) 치료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김은준 시냅스뇌질환연구단 단장(KAIST 생명과학과 석 ... ...
19세기 악명 떨친 '차보 사자' 이빨서 식인 근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시카고 필드 박물관에 보관된 '차보 사자'의 이빨. 시카고 필드 박물관 제공 1898년 케냐에서 수컷 사자 두 마리가 악명을 떨쳤다. 일명 '차보 사자'다. 갈기가 없는 두 사자는 케냐 차보강에서 철도 교량을 건설하는 노동자들을 위협하고 잡아먹었다. 밤에 노동자들이 잠자는 텐트를 습격해 공포의 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