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체
조명
광야
벌판
황야
발광물
빛
뉴스
"
광원
"(으)로 총 2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GIST 강지승 박사, 만 27세로 고려대 최연소 조교수 임용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내 빛과 음파의 상호작용을 통해 매우 안정적이고 잡음이 적은 레이저 빛을 만들어 내는
광원
이다. 연구팀은 그동안 고성능 광소자가 부재했던 중적외선 파장대의 브릴루앙 레이저의 최소 동작 전력을 1000배 이상 낮추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이 교수는 "연구결과는 화학, 생물학 및 재료학에 ... ...
KAIST, 양자 컴퓨터 오류정정 위한 양자얽힘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2.25
장치다. 연구팀은 비선형 결정에 펨토초 레이저를 입사시켜 여러 주파수 모드에서 양자
광원
을 동시에 생성하고 이를 활용해 3차원 구조의 클러스터 양자얽힘을 생성했다. 라영식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기술로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3차원 클러스터 양자얽힘 상태 제작에 성공한 최초의 ... ...
2월 과학기술인상에 이건재…면발광 마이크로LED 마스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도달하는 광량이 제한적이었다. 면발광 마이크로 LED 마스크는 빛의 입자 산란을 유도해
광원
을 면으로 확산시키는 방식으로 광손실을 최소화하고 피부 진피층까지 빛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피부 탄력과 재생에 효과적인 630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파장의 빛을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해 ... ...
단일 원자 기반 양자 LED
광원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원자 수준의 극단적으로 작은 공간에 가두면 양자점과 달리 상온에서도 우수한 양자
광원
특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hBN은 소재 내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원자 결함에 전자를 안정적으로 가두어 둘 수 있는 소재다. hBN도 단점이 있다. hBN은 '밴드갭'이 넓어 hBN에 전기를 이용해 전하를 주입하기 ... ...
3중 엑스선으로 땅속 정밀 투시…"지뢰탐지·유해발굴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2.26
를 활용해 고온 가열 없이 전기신호만으로 정확한 엑스선을 빠르게 만들 수 있다. 여러
광원
에서 나오는 엑스선을 지면에 조사한 뒤 반사되는 엑스선의 강도와 스펙트럼 정보를 인공지능(AI)으로 학습시키면 물체의 형상과 물질 종류를 높은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다. 다중 디지털 엑스선원 기반 ... ...
[표지로 읽는 과학] 꼬인 탄소 나노튜브 섬유, 원편광 흑체 복사 방출
동아사이언스
l
2024.12.22
낸다고 밝혔다. 원편광 흑체 복사를 내는 섬유는 극한의 온도 조건에서 원편광
광원
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정한 편광 특징을 지닌 물체를 식별하는 표지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 ...
IBS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 단장에 김경택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시트를 사용한 플라즈마 거울에서 생성되는 고차조화파 연구, 극자외선 발생 과정에서
광원
의 세기를 고려한 새로운 경로 개발, 레이저 필드의 시간적 특성을 높은 해상도로 측정할 수 있는 터널링 이온화 방법 개발 등이 있다. 이 같은 업적을 바탕으로 한국광학회 학술대상(2022), 한국물리학회 ... ...
납 없는 친환경 발광 소재로 선명한 화면 즐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3
최대값 절반 높이에서의 두 점 사이의 거리로 발광 색상의 선명도를 평가하는 지표다.
광원
의 발광 스펙트럼이 좁을수록 디스플레이에서 선명한 색 표현이 가능하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그동안 어려웠던 친환경 비납계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연구의 돌파구를 제시하는 결과”라면서 ... ...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 QD-LED 성능 끌어올려…가상현실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구현 물질로 주목받는다. QD-LED를 차세대 초실감 디스플레이나 옥외 디스플레이, 산업용
광원
으로 활용하려면 단위 면적당 광량을 높여야 한다. 소자 내 양극에서 양전하를 띠는 홀(hole)을 양자점으로 전달하는 얇은 층인 홀전달층의 전도도가 낮고 고온에 불안정하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했다. ... ...
피부가 3배 더 '탱탱'…과학자가 만든 LED 마스크
동아사이언스
l
2024.10.29
진피 자극 얼굴밀착형 면발광 마이크로 LED 마스크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광확산층은
광원
이 방출하는 빛을 고르게 분산시켜 균일한 발광을 유도하는 층을 말한다. 기존 웨어러블 LED 마스크 제품은 딱딱한 구조와 점발광 방식으로 피부에 밀착되지 않고 광손실이 발생해 치료용 빛이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