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종 교배
뉴스
"
교잡
"(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자의 조상은 900만 년 전 토마토"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감자와 비슷하지만 매우 다른 덩이줄기가 없는 식물이다. 유사한 남미 식물 사이의 자연
교잡
을 통해 오늘날 감자의 형태가 갖춰졌다는 게 연구팀의 결론이다. 연구팀은 재배 감자 450품종과 야생 감자 56종의 유전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감자 종은 토마토와 에튜베로섬이라는 칠레 식물 ... ...
지구상에서 가장 어린 포유류는 '노르웨이 레밍'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분화해 진화한 것으로 밝혀졌다. 노르웨이레밍과 서시베리아레밍은 갈라진 뒤 서로
교잡
흔적이 전혀 없었다. 일반적으로 포유류 종은 분화 이후에도 일부 유전 물질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이번에 확인된 두 레밍은 오랜 시간 유전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유지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 ...
노래하는 새마다 타고나는 '리듬과 템포'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노래를 문화적으로 학습하지 않고 선천적으로 내는 종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두 종의
교잡
종까지 포함해 총 135개체의 팅커새 유전자를 분석하고 어떤 유전자가 팅커새 노랫소리의 리듬과 템포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했다. 연구 결과 인간의 언어 장애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뉴렉신-1'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초기 재배품종)이 나온 게 아니라 동양 그룹과 당시 유럽에 자생하던 야생 당근 사이에
교잡
이 꽤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어쩌면 서양 그룹 당근의 주황색도 뿌리가 주황색인 변이 야생 당근에서 온 것일지도 모른다. 논문은 작물 당근의 특성을 두 단계로 설명하고 있다. 먼저 당근이 처음 작물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세계 영장류 233종 유전체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3.06.04
연구원의 연구는 거의 조사되지 않았던 포유류 진화의
교잡
에 초점을 맞췄다.
교잡
은 유전적 조성이 다른 두 개체 사이의 교배를 일컫는다. 연구팀은 들창코 원숭이에 속하는 원숭이 종 그룹의 게놈 서열을 연구해 회색 들창코 원숭이와 황금 들창코 원숭이는 두 종의 조상 사이 잡종에서 파생됐다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2.07.14
빈소에 보냈을 뿐이다. 언론은 그의 죽음을 비중있게 다루지 않았다. 2021년 5월, 중국
교잡
벼의 아버지라 불리는 위안룽핑이 사망하자 중국 사회 전체가 애도의 물결에 휩쌓였다. 과학기술유공자에 대한 양국의 차이가 양국 과학기술경쟁력에 어떤 차이로 나타나게 될 것인지는 역사가 판단해줄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주장했다. 예를 들어 주기가 12년과 15년인 매미가 있다면, 60년 후에 두 종이 만나
교잡
과 경쟁이 이뤄진다. 반면 13년과 17년 주기매미는 221년 후에야 동시에 등장할 수 있다. doi: 10.1086/285981 ※관련기사 과학동아 7월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https://dl.dongascience.com/magazine ... ...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2.13
사라질 수도 있다. 중국줄무늬목거북과 남생이는 서로 번식이 가능해서 외래종과
교잡
하면 유전자가 섞인 거북이 태어나기 때문이다. Q. 잡는 것 외의 근본적 해법이 필요한 것 같다. 거북뿐만 아니라 외래생물을 구하기가 쉽다는 게 큰 문제다. 2019년에 한국의 상위 25개 온라인 애완동물 ... ...
'왕좌의 게임' 등장 큰 늑대 다이어 울프는 늑대 근연종 아냐
연합뉴스
l
2021.01.14
이종교배조차 이뤄지지 않을 정도였다는 점을 알고 놀랐다"면서 "갯과 동물 종 간에
교잡
이 아주 흔하다는 점에서 이는 다이어 울프가 아주 오랫동안 북미에 고립돼 유전적으로 독특한 개체가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전략을 즐겨 쓴다. 달콤한 수박 역시 이 목적으로 쓴사과멜론이나 시트론멜론과
교잡
을 한 흔적이 이번 게놈 분석을 통해 드러났다. 이들 종에서 여러 스트레스 저항 유전자들이 도입된 것이다. 3500년 전 이집트 사람들이 먹었던 수박 고대 이집트 벽화에는 수박이 등장해 인류가 늦어도 4000년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