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핀
깃
장대
flagpole
Flagstick
뉴스
"
깃대
"(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시민과학자!"…2024 지구사랑탐사대 페스티벌 성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2.18
운영하며 만들기 체험과 프로젝트 최종 결과 포스터 전시 등을 진행했다. 부스에서
깃대
종(상징적 의미, 지역 특별성이 있거나 희귀보호종으로 선정된 생물종)에 대한 발표를 진행한 허동혁 대원(경기 수원 정천중 1학년)은 "집 근처 일월저수지를 꾸준히 탐사하며 흰뺨검둥오리 등의 조류를 ... ...
[애니멀리포트]멸종 위기 딛고 펼친 하얀 날갯짓
과학동아
l
2021.03.13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큰 새’ 황새는 국내 지역 생태계를 대표하는
깃대
종 중 하나다. 황새가 살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건강한 생태계가 조성돼 있다는 증거다. 하 연구원은 “사람의 활동이 황새의 터전을 만든다”라며 “황새복원을 위한 노력은 사람이 자연과 함께 공생하는 법을 ... ...
멸종위기종 해마 독도 주변에서도 산다
2020.12.23
민감하다. 이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는 해마를 통해 그 지역의 해양 생태를 확인하는 '
깃대
종'으로 삼고 있다. 울릉도 북서쪽 현포항 인근에 위치한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공 독도에서 해마의 서식을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독도의 해양생태계를 ... ...
남극 공룡의 깃털은 방한용
과학동아
l
2019.12.05
조류의 날개 깃털 등이었다. 날개 깃털에서는 현재 새의 날개에 달린 깃털처럼 딱딱한
깃대
를 중심으로 작은 가지가 뻗어져 나온 구조가 확인됐다. 깃털에서는 흡광 색소인 멜라닌이 포함된 멜라닌소체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어두운 색소가 침착된 깃털은 위장용으로 쓰였을 뿐만 아니라 추운 ... ...
[애니멀리포트] 반려새에겐 특별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2019.07.06
피해서 잘라야 합니다. 깃털은 관 모양의
깃대
를 중심으로 자라는데, 깃털이 자랄 때
깃대
에는 혈관이 가득 차 있기 때문입니다. 다 자라면 혈관은 피부 쪽으로 후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빨갛게 보이는 혈관을 피해 잘라야 합니다. 새는 스스로 지혈이 잘 안 되는 동물이기 때문에 혈관에 상처가 ... ...
[프리미엄 리포트]한없이 가볍고 따뜻한 패딩 깃털 얼마나 알고 입나
과학동아
l
2018.12.09
는 “실제로 침구에 있던
깃대
가 빠져나와 눈에 부상을 입히는 경우가 있었다”며 “
깃대
가 긴 깃털은 셔틀콕이나 소파 등에 주로 사용된다”고 말했다. 인공 충전재 보온력은 OK, 충전성은 글쎄 천연 우모 가격은 최근 급등하고 있다. 이는 우모 최대 생산국인 중국 내 상황과 관련이 있다. 김 ... ...
[팔라우 힐링레터] 모리쉬 아이돌의 사랑의 왈츠
2018.02.11
작은 얼굴과 기다란 주둥이로 먹이활동을 하면서 살아간다. 특히 등에 있는 기다란
깃대
는 화려함을 자아내며 수중 사진가들에게 좋은 피사체 역할을 해주기도 한다. 제임스 정 제공 팔라우에서는 일년에 딱 두달 동안 짝짓기를 볼 수 있다. 이들의 움직임은 마치 춤을 추듯이 화려하다. ... ...
올들어 벌써 17번, 北 미사일 도발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
과학동아
l
2017.10.01
무평리에서 북한은 또 화성 14형을 발사했다. 이것이 끝이 아니다. 8월 26일에는 강원도
깃대
령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3발을, 8월 29일에는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을 쏴 급기야 일본 상공을 통과했다. 9월 15일 한 번 더 발사한 화성-12형은 보름만에 1000km를 더 날았다. ... ...
[팔라우에서 온 힐링레터] 토끼처럼 톡톡 튀는 귀염둥이 물고기 ‘고비’
2017.09.03
하면 순식간에 바닥의 구멍으로 숨어버린다. 조금 거리를 두고 보면 머리 밑에 기다린
깃대
를 사용해 톡톡 튀듯 움직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벌서 9월이다. 가을을 맞아 이 고비들처럼 상쾌하게 한 달을 시작하기를 팔라우에서 기원해 본다. ... ...
[강릉 순포호, 양양 매호] 다시 살아날 석호! 순포호, 매호의 재발견
2016.08.18
있다고 한다. 순채의 자생지였던 순포호의 복원은 그래서 더 중요하다. 순포호는 순채를
깃대
종으로 정하였다. 이에 대한 서식환경을 체계적으로 복원하는데 중점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던 중 순채의 매토종자(발아력을 유지한 채 휴면상태에 있는 종자)를 발견하게 되었다. 경포호 가시연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