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내향"(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라고 믿었던 모든 것, '착각'일 수도2024.07.13
- 예를 들어 외향적이라고 해서 365일 내내 사람과 같이 있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고 내향적이라고 해서 매일 혼자이고 싶은 것은 아니다. 다들 외향적이면서 혼자 있고 싶은 시간도 있고 반대로 혼자 있고 싶으면서 타인과 부대끼고 싶은 순간이 오는 법이다. 따라서 어떤 특징이든 대충 그 반대 되는 ... ...
- 사람은 '자신과 비슷한 사람'에게 반한다동아사이언스 l2023.09.05
- 키가 큰 사람이 키가 작은 이성과 사귀는 경우가 적잖았다. 성격 또한 외향적인 사람은 내향적인 사람과 이성교제를 하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연구팀은 "우리는 호감을 느끼는 이성을 스스로 선택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메커니즘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선 ... ...
- 인간 성격 모방한 AI, 심리 실험에서 인간 대체한다동아사이언스 l2023.08.07
- 인간을 모방하는 AI 발전은 현재진행형이다.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은 내향성, 외향성 등 성격특성을 조합해 다양한 인간 성격을 가진 수백 개의 AI 가상인격을 개발했다. 이 가상인격들은 실제 사람이 작성한 800단어 분량의 어린 시절 이야기를 바탕으로 가상의 경험과 성격을 형성했다. ... ...
- 호랑이에도 MBTI 통한다...'내향형'과 '외향형' 나뉘어동아사이언스 l2023.04.05
- 연구를 이끈 아덴 연구원은 "이번 연구에서는 호랑이가 마치 인간처럼 외향적이거나 내향적인 기질을 갖고 있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압델 압델라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연구원은 "각각의 호랑이가 가진 개별적 특성을 알수록 인간은 이 동물에게 더 큰 정서적 유대감을 ... ...
- [오늘과학] 정신건강 안좋으면 타인 얼굴 덜 본다동아사이언스 l2023.02.17
- 개방성, 외향성, 상냥함 등의 성격적 특성과 연관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반면 성격이 내향적이거나 정신건강의 상태가 상대적으로 악화된 사람들은 사람의 얼굴에 집중하는 것을 피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 ...
- [박진영의사회심리학] 새로운 인연 만들기는 '해볼 만한 일'2022.12.10
- 많은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도록 하면 행복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다만 내향적인 사람들은 사람들과 교류하며 행복했던 기억보다 그 전의 어색했던 기억을 더 강렬하게 품고 사회적 상황에서 자신이 실제로 느낄 행복도를 과소평가하는 편향을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는 어색함은 ... ...
- [프리미엄 리포트]SNS에서 뜨거운 MBTI 얼마나 믿어야할까과학동아 l2020.08.08
- 등 대극 지표로 사람들의 심리 유형을 8가지로 분류했다. 즉 세상을 대하는 태도가 내향인가 외향인가, 무언가를 인식할 때 감각인가 직관인가, 판단을 내릴 때 사고인가 감정인가를 구분한 것이다. 캐서린과 이사벨 두 사람은 여기에 ‘생활양식’이라는 지표(판단과 인식)를 하나 더 추가한 네 가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발표를 앞둔 사람에게 도움될 조언 아홉가지2019.11.09
- 없었고 심지어 내향적인 사람들이 더 크게 즐거워하는 현상도 나타나지만, 이후 왜인지 내향적인 사람들은 별로 재미없었다고 기억을 왜곡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거의 즐거웠던 대화들을 떠올려보고 이번에도 즐거울 것이라고 생각해 보는 것이 실제 사회성의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쑥스러움이 많을수록 친구가 필요하다2019.09.28
- 결과로, 이사를 자주 다녀서 오래 사귄 친구가 없을 때, 외향적인 사람들은 괜찮지만 내향적인 사람들은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Oishi & Schimmack, 2010). 사회적 상황을 기피하는 사람들은 사람을 만나는 게 별로 중요하지 않은가보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정반대다. 사람이 어려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을 할 때 음악 틀면 효과적일까2019.04.27
- 반대로 지루함에 취약하지 ‘않은’, 즉 가만히 있어도 별로 심심하지 않고 무탈한 다소 내향적인 사람들은 단순 작업과 복잡한 음악 조합에서 가장 좋은 수행을 보였다. 비슷한 현상은 복잡한 작업에서도 나타났다. 머리를 써야 하는 일을 할 때 지루함에 취약한 사람들은 음악을 들으면 듣지 않을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