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치
main
멜론
해머
쇠망치
뉴스
"
메
"(으)로 총 15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고체·액체 오가는 사슬 모양 재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1.19
과학자들은 사슬 모양 구조가 적층 제조 공정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보고 있다. 사
메
타우픽 미국 어버너-섐페인 일리노이대(UIUC) 공대 교수 연구팀은 압력을 가하는 정도에 따라 고체 또는 액체와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3차원 사슬 형태의 재료를 16일 사이언스에 소개했다. 이 재료는 ... ...
'
메
타뉴모바이러스' 입원환자 늘어…"흔한 현상으로 우려 안해도 돼"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전 세계 전문가들도 비슷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아
메
쉬 아달자 존스홉킨스 보건안보센터 전문의는 "HMPV의 증상은 대부분 경미하다"면서 "코로나19 팬데믹의 상처로 중국 HMPV에 과도한 두려움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마거릿 해리스 세계보건기구(WHO) 대변인 또한 ... ...
IBS, 막스플랑크 의학연구소에 협력사무소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열었다고 2일 밝혔다. 이날 현판식에는 요아킴 스파츠 막스플랑크 의학연구소장과 일
메
슐리히팅 막스플랑크 의학연구소 부소장, 크리스티안 하우프트 막스플랑크연구회(MPG) 아시아협력 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IBS 측에서는 심시보 IBS 글로벌커뮤니케이션실장, 강동우 IBS 전략정책실장, 이정욱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심었는데 이삭의 색이나 생김새가 제각각이었고 벼의 키도 꽤 차이가 났다. 특히 '붉은
메
'라는 재래종은 적갈색 낟알 끝에 꽤 뻣뻣해 보이는 긴 까락(까끄라기)이 달려있었다. 원래 까락은 야생벼의 특징으로 순화벼는 까락이 없거나 퇴화해 짧다. 주류 이론에 따르면 한반도에 벼가 전해진 건 약 35 ... ...
심해 광물 덩어리가 뿜는다는 '암흑 산소'…과학자들 논쟁 점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스위트먼 교수팀이 진행한 심해 채굴의 환경 영향 평가 연구의 후원 기업이기도 하다.
메
탈스 컴퍼니 연구팀은 실험 과정에서 챔버 내 산소가 기포로 남아 제대로 배출되지 않았거나 장비에서 누출된 전기가 전기분해를 일으킨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스위트먼 교수는 챔버에 남은 기포나 누전이 ... ...
의사 공백
메
꾸던 진료지원 간호사 입법화…'간호법 국회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8.28
대한간호협회 소속 간호사들이 28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간호법이 통과되자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의료계의 오랜 쟁점이었던 진료지원 간호사(PA 간호사)의 의료 행위가 이르면 내년 6월부터 합법화된다. 의사의 수술 집도 등을 보조하면서 의사의 업무 일부를 담당하던 PA 간호사는 업 ... ...
전공의 복귀 없자 줄줄이 사직 처리…개원가로 쏟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8.18
6명이나 늘어난 숫자다. 수련병원들은 전공의 추가 모집보다는 사직 전공의들의 공백을
메
꿀 수 있는 진료 전담 일반의 채용 등에 나섰다. 한편 사직 전공의들이 개원가로 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며 대한의사협회(의협)는 개원가 인기 과목 연수를 진행하는 등 사직 전공의 진로 지원을 적극 ... ...
악성 뇌종양 극복될까…'4세대 꿈의 암 치료기' 안전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1회 치료로 완치에 도달할 수도 있다. 국내에서는 가천대 길병원이 의료기업 다원
메
닥스 등과 A-BNCT를 공동 개발해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우선 교모세포종 환자 6명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임상 1상을 시행해 치료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했다. 현재 환자 6명 중 2명은 좋은 ... ...
KAIST 학부생, 항암치료 앞당길 '천연물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세큐리네가 천연물을 생합성할 때 쓰이는 핵심 전구체다. 연구팀은
메
니스다우릴라이드와 피리딘 헤테로고리가 염기성이 높아 원하는 결합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해 새로운 희토류 기반 교환 시약을 개발했다. 이 시약을 통해 염기성 조건에서 문제가 된 부반응을 억제하고 탄소-탄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메
디컬센터에서 전기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경쟁력 있는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