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광
뉴스
"
방열
"(으)로 총 5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포스텍, 국내 최초 전과정 온라인 '경영과학전공' 신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만 39세 이하 박사후연구원이다. 정학순 연구원은 전기전자공학과 화학공학을 융합해 고
방열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김소연 연구원은 미토콘드리아 기능과 대사질환 간의 관계를 연구해 새로운 망막질환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 포스텍은 이준구 화학공학과 교수팀이 ... ...
가로세로 양방향 열전달하는
방열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6.11
다양한 열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연구를 이끈 김태일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방열
소재는 차세대 고전력 전자소자의 성능 및 수명을 높일 수 있다”며 “기계적 변형이 큰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모바일 소자 및 바이오칩에 쉽게 적용할 수 있게 해 반도체 패키징에 활용될 것”이라고 ... ...
냉난방 소비 줄이는 법 발견…열방사율 자동 조절하는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전환됐다. 고온일 때 열방사율을 15% 높였다는 뜻이다. 개발된 고분자 복합재로 덮여있는
방열
체는 외부 온도에 상관없이 내부 온도를 70℃로 유지시켰다. 김 교수는 “개발한 고분자 복합재를 표면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는 외부 온도와 상관없이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냉난방 ... ...
NASA 태양 탐사선 '파커', 태양 최근접 관측 새 역사
동아사이언스
l
2024.12.29
달하며 본체 길이는 3m, 지름은 1m다. 태양 대기의 극한 환경에서도 비행할 수 있도록 높은
방열
성능을 갖고 있다. 섭씨 1370도의 열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다. 파커 솔라 프로브의 임무는 태양 대기권의 상층부인 코로나의 온도가 올라가는 이유와 태양풍의 발생 원인을 찾는 것이다. 2018년 처음 ... ...
美 유인 달 탐사 또 연기…"한국도 트럼프 정부 2기 변수 살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2.06
미션 2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며
방열
판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방열
판 문제를 완벽히 해결하지 못한 NASA가 아르테미스 미션 일정을 연기할 것이라는 전망이 현지에서 지속적으로 나왔다. 2021년 5월 한국은 아르테미스 계획에 참여하는 아르테미스 약정에 서명했지만 ... ...
현지 전망 어두운데 NASA 달탐사 아르테미스 연구협약에 들뜬 한국
동아사이언스
l
2024.10.30
보름달. 미국의 달 탐사 계획인 '아르테미스 미션'이 기술적인 문제 등 때문에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이 현지에서 나오고 있다 ... 진행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아르테미스 미션 2까지 1년도 안 남은 시점에서
방열
판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 ...
지형 가리지 않고 뛰는 로봇 다리, 모터 없이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며 "일반적으로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로봇은 열을 공기 중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방열
판이나 팬(fan)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개발된 시스템에는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 다리는 아직 축에 부착돼 원을 그리면서 움직이는 수준이다. 연구팀은 "로봇 공학 분야에서 첨단 제어 ... ...
마그네슘 첨가제로 고품질
방열
소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한국재료연구원 연구팀이 단순한 소결 과정만으로 고품질의
방열
소재를 개발했다.
방열
소재는 전기차용 배터리, 전자부품에 쓰일 수 있어 ... 필요성이 커졌다. 전기차 판매량을 기반으로 2025년 전기차의 열 계면 소재에 사용되는
방열
소재 시장은 약 9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
'버리는 에너지'로 전력생산 더 늘린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1.14
동적 히트싱크(열원의 냉각을 돕는 소자)를 제작했다. 이를 통해 진동 환경에서도
방열
효과를 높였고, 열전효과를 내는 열전 소자의 출력이 25% 이상 향상됨을 확인했다. 이어 캔틸레버에 폴리머형 압전 소자(MFC)를 부착했다. 캔틸레버의 진동에 따라 압전 조사가 인장-압축 변형을 발생시키며 ... ...
러시아 우주정거장, 세번째 냉각제 유출사고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3.10.10
제공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가 구축한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보조
방열
기에서 냉각제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로스코스모스 측은 우주정거장과 승무원 안전에는 아무 위험이 없다고 설명했다. 러시아 우주정거장에서 냉각제 유출 사고가 발생한 것은 최근 1년 사이 세 번째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