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신
위반
위배
불성실
겁탈
능욕
강간
뉴스
"
배반
"(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다 잘될거야' 낙관, 오히려 해롭다
2024.05.25
일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다 잘될 거야"라고 마음을 다스리는 데에는 언제나 현실로부터
배반
당할 위험이 따른다. 따라서 일의 '결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별로 유익하지 않을 수 있다. 원래가 알 수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미래의 결과를 기대하고 실망하기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용서와 배신의 '딜레마'
2023.04.01
보답하는 사람을 만나 서로에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내가 항상
배반
하는 경우에는 한 명만 이득을 보거나 또는 둘 다 망하는 결과만 나오게 된다. 만약 그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않아도 괜찮고, 모든 것이 풍족하지만 온기를 느낄 수 있는 존재라고는 단 하나도 없는 무인도에서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일정하더라도 학습도가 완벽해질수록 점차 오류가 줄어드는 현상은 신기하지만 이율
배반
적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다. 그럼 뇌에서는 오류 정보의 활용도를 어떻게 학습과정 중에 변화시킬까. 정말 오류정보는 어떤 상황에서도 항상 일정하게 발생되는 것일까. 그러한 오류정보들은 의미있는 ... ...
[주말N수학] 역설 속으로
2022.01.29
논증 과정이 모두 올바른데 결론이 논리적으로 이치에 맞지 않는 상황입니다. 이율
배반
의 가장 대표적인 예시는 ‘거짓말쟁이 역설’입니다. '이 문장은 거짓이다.' 위 문장이 참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문장의 내용에 의해 위 문장은 거짓이 됩니다. 즉 모순입니다. 그럼 이번엔 위 ... ...
실험실에서 '
배반
포' 길러냈다…불임·발달과정 질환 연구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교수는 네이처에 “점차 실험 조건이 최적화되면 인공
배반
포가 실제 인간의
배반
포에 가까워지게 되고 생명윤리적 질문을 제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 책임연구원도 “배아는 관점에 따라 생명인지 아닌지 다르게 볼 수 있을 것 같다”며 “윤리적 공감대가 필요한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멘델의 유전법칙과 재발견
2020.11.26
요소가 개입됐다는 결론을 내렸다. 윌리엄 브로드와 니콜라스 웨이드는 《진실을
배반
한 과학자》에서 “진짜라기에는 너무 정확한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고 논평했다. 신념이든 선입견이든 미리 입력된 정보가 있다면 그 정보에 부합하는 데이터는 선택하고 부합하지 않는 데이터는 버리려는 ... ...
침팬지 사회의 정치학, 美 대선에서도 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우두머리를 뽑는다. 침팬지는 일대일 대결 외에도 인간의 정치처럼 복잡한 동맹과
배반
을 통해 기존 우두머리를 쓰러뜨리기도 한다.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네덜란드 아른험 동물원에 사는 ‘이에룬’ ‘라윗’ ‘니키’라는 세 마리의 수컷을 관찰한 결과다. 드 발 교수가 처음 이들 무리를 접했을 ... ...
[기자의눈] 빛 바랜 원안위의 '소통 의지'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취재를 통제하며 "시민단체와 소통은 하겠다"면서 "시민과는 소통하지 않겠다"는 이율
배반
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점이다. 원안위가 간담회 소식을 전하면서 '비공개' 간담회라고 사전에 공지하지 않은 탓도 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했던 시민단체 대표들은 “취재 통제와 관련해 시민단체들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언제 멈춰서야 할까
2018.10.14
아무도 가보지 않은 미래라는 길이지만, 동시에 누군가 이미 기찻길을 닦았다는 이율
배반
입니다. 우리는 과거의 일을 기억하고, 미래의 일을 예상합니다. 그러나 사실 우리는 오직 현재에 있을 뿐입니다. 현재에 맞추어 머리 속 과거와 미래를 알맞게 재구성할 뿐이죠. 그래서 일부 정신장애에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사람)과 연합해 동족인 늑대를 거의 절멸시켰다. 이처럼 각자 서로를 이용해 동족을
배반
한 전력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 사람과 개가 이처럼 서로를 예외적인 존재로 여기며(채식주의자가 아닌 사람들도 대다수는 개고기를 안 먹는다!) 살아가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