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6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분자로 11자리 비밀번호 구현·해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5.17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고분자를 이루는 다양한 종류의 단위체를 의도된 순서에 따라
배열
해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고분자 정보 저장장치는 반도체 기반의 상용 저장장치보다 정보를 읽고 쓰는 속도는 느리지만 에너지를 계속 공급하지 않아도 정보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자주 ... ...
설탕 코팅 물질, 치매 원인 '청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있어 잘못 접힌 단백질과 결합하기 어렵다. 연구팀이 만든 불안정한 나노섬유는 재
배열
저항성이 낮아 잘못 접힌 단백질과 잘 결합했다. 트레할로스 코팅 나노섬유는 알츠하이머병 원인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과 결합해 새로운 하이브리드 구조를 만들었다. 새 구조는 뇌 신경세포에 침투할 ... ...
다 쓴 배터리, 고성능 배터리로 재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상태의 공융염이 침식하게 만들면 입자 간 접촉면이 균일해진다. 손상된 결정 구조가 재
배열
되고 입자가 균일하게 성장하면서 단결정 형태의 고성능 NCM811 양극 소재가 되는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NCM811 양극재는 기존 폐배터리 재활용 샘플 대비 높은 용량인 g당 198mAh(밀리암페어시)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인원 6종 게놈 염기서열 완벽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5.05.10
염기서열은 생물의 DNA에 담긴 유전 정보를 이루는 A, T, C, G 네 가지 염기가 어떤 순서로
배열
되어 있는지를 기록한 것이다. 게놈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생물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생물의 게놈 염기서열을 비교하면 공통 조상이나 진화사를 파악할 ... ...
물속에서 빛으로 움직이는 로봇용 인공 근육
동아사이언스
l
2025.05.04
많은 형태 변형과 강력한 운동 능력을 구현했다. 액정 탄성체를 이용하면 소재 안의 분자
배열
을 정밀하게 설계할 수 있다. 작은 자극만으로도 크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구팀은 강성이 조절되는 새로운 액정 고무 소재를 만들고 여기에 광화학 분자 ‘아조벤젠’을 넣어 빛을 ... ...
지구가 돌면 전기가 생긴다?
과학동아
l
2025.05.03
이미지. 2.미국 연구팀은 망간-아연 페라이트 원통을 지구 자기장 방향과 수직으로
배열
해 전기를 생산했다. 위키미디어 제공 지구 외핵 속 액체 상태의 금속은 끊임없이 대류하며 지구 주위에 강한 자기장을 만든다. 최근 과학자들이 지구 자기장과 자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전압을 실험으로 ... ...
전도성·접착력 모두 잡은 신물질로 차세대 해수전지 성능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27
영역이 모두 나타나는 '반결정성' 고분자 바인더를 개발했다. 고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
된 결정성 영역은 전자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해 전도성을 높인다. 비결정성 영역은 고분자 사슬이 유연하게 움직이며 다른 표면에 결합하기 쉬워 접착력을 높인다. 개발된 바인더를 적용하자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한계 넘었다…유전자 6개 동시 교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이용해 여러 개의 유전자를 동시에 교정할 때 가장 문제가 됐던 sgRNA의 합성과
배열
문제를 합성생물학 기술을 이용해 해결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7일 온라인 게재됐다. - doi.org/10.1016/j.cej.2025.16233 ... ...
160년 만에 밝혀진 ‘멘델 완두콩의 마지막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이들 유전자의 변화로 꼬투리가 납작하거나 둥글게 형성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꽃의
배열
방식은 특정 유전자 내 염기서열 결실로 ‘팽창변이’ 현상이 나타나면서 꽃이 덩어리처럼 뭉쳐 피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완두콩의 선택적 교배, 전장유전체 연관분석(GWAS) 및 기존에 수집된 ... ...
10나노 두께 열감지 필름 개발…초경량 야간투시경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한 변이 약 60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인 정사각형 모양으로 만든 필름 100개를
배열
하고 미세한 온도 변화를 준 결과 필름은 원적외선 영역 전반에서 작은 온도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했다. 최신 야간투시경의 감도와 비슷한 수준이다. 현재 널리 쓰이는 광검출 방식 야간투시경은 냉각 장치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