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속
대물림
계승
승계
후계
상속재산
유산
뉴스
"
세습
"(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극장] 과학계 거장 마이클 패러데이, 수학 못했다?
과학동아
l
2024.12.28
시기였다. 당시까지 자연을 탐구하는 사람들은 '자연철학자'로 대부분 성직자,
세습
귀족, 의사 등 안정된 직업이 있는 사람들이었다. 이들에게 자연의 탐구는 여가 시간에나 하는 일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상당한 경력을 쌓아온 제본사의 길을 포기하고 과학 연구로 생계를 꾸리겠다는 패러데이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
2023.07.08
것은 아닐까. 결국 아무 것도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학습한 사회에서 착취의
세습
을 거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많은 이들이 ‘나는 저렇게 살고 싶지 않다’고 또는 ‘더 이상 이렇게 살고 싶지 않다’고 생각한다. 사회에 대한 희망이 없기에 나라도 살 길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엘리트 과학자는 과학에 도움이 되는가
2022.05.05
그것은 당신 잘못이 아닙니다. 당신이 일을 잘 못해서가 아니에요.” - 《엘리트
세습
(원제 The Meritocracy Trap)》 저자 대니얼 마코비츠 미국 예일대 로스쿨 교수 세계는 과학기술로 인해 분명히 더욱 풍요로워지고 있지만, 동시에 불평등 역시 심각해지고 있다. 흔히 경제적 양극화라고 불리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계는 '공정한 차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까
2021.02.25
전 하버드대 교수를 소환한다. -메리토크라시, 능력주의를 강조하는 사회는 새로운
세습
특권 사회로 이향하게 된다. 과학기술계 또한 이런 기조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다. 그림출처: 24차 KIPA 공공리더십 세미나 자료집 인종차별과 능력주의로 인한 부의 양극화 등 미국 사회의 거대한 모순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경쟁과 불평등의 이데올로기
2021.02.11
하는 부의
세습
은 존재하지 않지만, 도제관계와 이너써클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자본의
세습
은 분명히 존재하고 있다. 과학계는 이미 능력주의를 정당화하는 생태계로 진화했고, 그 진화의 부산물 중 하나가 무한경쟁을 정당화하는 논리인 셈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19세기 허버트 스펜서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력으로 공정하게 과학자를 평가할 수 있을까
2021.01.28
세습
된 엘리트주의를 개발했는데, 그게 바로 학벌과 저명한 과학자의 권위를 이용한
세습
이다. 특히 족벌주의가 심각한 한국 과학계에서 연구비를 독식한 명문대학 교수의 제자들이 학계를 장악하는 모습은 아주 흔하게 볼 수 있는 불평등의 대표적인 사례다. 과학계의 불평등은 능력주의라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능력에 의한 평가는 과연 공정한가
2021.01.14
이익에 부합하도록 능력을 정의함으로써 결국은 교육 시스템을 교묘하게 만들어, 능력의
세습
을 이루어낸다는 점이다. 마이클 영은 “완벽한 의미에서의 능력주의는 사람들을 한 줄로 세울 수 있는 합의된 가치가 있을 때에만 존재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이에 덧붙혀 그는 “(능력주의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비즈니스 모델과 과학계의 파국
2020.06.04
g)보다 항상 높다는 사실과 부의
세습
속에서 부의 격차는 점점 더 심화되고 이와 같은
세습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보통 사람들은 결코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영위할 수 없게 된다. 과학계는 바로 피케티가 지적한 자본주의의 모순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연구비 규모를 늘이면 모든게 ... ...
DNA가 밝힌 古代...기원전 2750년에도 사회적 불평등 존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지위를 가늠하는 근거로 활용된다. 이 분석에서도 부모의 부와 사회적 지위가 사실상
세습
되는 지금처럼 당시에도 불평등이 자식으로 이어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부모의 묘지에서 많은 유물이 나온 경우 자식의 묘지에서도 유물이 많이 발견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고대에도 사회적 지위가 개인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
2019.09.05
처리하는 과정에 불만을 품은 그의 부하들이 알리를 시해했다. 이후 무아위야가 새로운
세습
칼리파 왕조를 열었으니 이가 우마이야 왕조였다. 우마이야 왕조의 뒤를 이어 들어선 왕조가 아바스 왕조이다. 우마이야 왕조가 채 100년을 가지 못했으나 아바스 왕조는 500여 년을 지속했다(750~1258). 이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