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락
심해
뉴스
"
심연
"(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육각형 거울로 우주
심연
을 들여다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8
사이언스 제공 마치 벌집처럼 노란 육각형 구경 안에 '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으로 알려진 거대한 성운의 모습이 보인다. 새로운 별들이 탄생하는 순간이라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번주 사이언스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의 구경 안에 창조의 기둥 이미지를 담아 표지에 실었다. 1995년 허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하이젠베르크와 슈뢰딩거
2022.01.06
이로부터 양자역학은 고전역학과 영원히 결별하기 시작했고 다시는 건널 수 없는
심연
의 강을 만들어버렸다. 슈뢰딩거(왼쪽)와 하이젠베르크(오른쪽), 스웨덴 왕(가운데). 1933년 노벨상 수상식의 모습이다. 노벨상위원회 제공 ※참고자료 -하이젠베르크, 《부분과 전체》(김용준 옮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리의 상대성 이론에 관하여
2020.05.26
20명의 사례를 임상일지 형식으로 기술한 이 책을 읽으며 인간이란 존재의 깊고 어두운
심연
을 들여다보는 것 같아 전율이 일었다. 책에는 기괴한 사례들이 무수히 나오는데 필자가 깊은 인상을 받은 것 가운데 하나가 이 글 맨 앞에 인용한 R씨라는 환자의 사례다. 유행이 끝나가던 1926년 21세에 ... ...
'궁극의 저온'을 꿈꾸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그와 가까운 온도는 가능하다. 인류는 이미 식어버린 우주
심연
의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를 지구상에서 만들어냈다. 우주는 대폭발 뒤 38만 년이 지나 우주 전체에 최초의 빛을 흩뿌렸다. 이 빛은 138억 년 동안 식고 식어 현재 영하 약 270도(2.7K)를 기록하고 있다. 194 ... ...
우주가 그린 수채화는 어떤 모습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3
끝 없는 우주. 그
심연
위에 은하수로 그린 한 편의 수채화가 올해의 ‘천체사진공모전’에서 대상을 차지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제26회 천체사진공모전의 결과를 발표했다. 전영준 씨가 촬영한 사진 ‘우주 수채화’가 대상을 차지했다. 천체사진공모전은 아름답고 신비한 천체사진 등의 ... ...
폭포 구멍으로 떨어지는 여자
팝뉴스
l
2017.11.20
뛰어내린다. 곧 여성은 사라지고 보이지 않는다. 저 여성은 어디로 간 것일까? 끝없는
심연
속으로 빠진 것처럼 보인다. 화제의 영상은 자메이카 리치 폭포에서 촬영된 것이다. ‘토끼 구멍’이라 불리는 바위틈이 있는데, 그곳을 통하면 수면으로 뛰어내릴 수 있다. 문제는 이 토끼 구멍으로 ... ...
10층 높이 워터 슬라이드, 유람선에 설치
팝뉴스
l
2017.09.20
설치되었다. 워터 슬라이드의 이름은 ‘얼티밋 어비스’다. 제목 그대로 극한의
심연
같은 워터 슬라이드다. 10층 높이 워터 슬라이드의 모습은 SNS에서도 화제에 올랐다. 얼티밋 어비스이라는 신무기를 ‘장착’한 초대형 유람선은 2016년 5월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한 송이 깊이 모를
심연
의 빛깔 - 부손(蕪村) 꽃 피기 전에는 기대하는 이도 없는 진달래여라 - 하리쓰(破笠) 많은 작가들이 머리맡에 수첩을 두고 잠을 잔다고 한다. 비몽사몽간에 아이디어가 퍼뜩 떠올랐을 때 바로 적기 위해서다. ‘내일 아침에 일어나서 메모하면 되지….’라고 생각했다가 ... ...
호주 바다의 덤보 문어와 쿠키 커터 상어
팝뉴스
l
2017.06.21
귀여운 새끼 코끼리를 닮았다. 덤보 문어는 귀를 닮은 지느러미를 펄럭이며 깊고 어두운
심연
을 우아하게 헤엄친다. 아래는 ‘쿠키 커터 상어’이다. 어둠 속에서 빛을 내며 상어라는 이름에 걸맞게 작지만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 ...
표면에서
심연
까지…바다가 많이 아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31
미세먼지로 대기오염이 심각하다. 청명한 날을 보는 게 힘들 정도다. 그런데 대기뿐만 아니라 바다 속 상황도 좋지 않다는 소식이 들린다. 인간 활동과 기후변화로 인해 바다 생태계 파괴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연구가 최근 연달아 발표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유명한 세계 최대 산호초 지대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