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니
에니메이션
만화
에니매이션
애니매이션
만화영화
에니메
뉴스
"
애니메이션
"(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영상] 세계 최초의 '정자' 레이스
SEIZE
l
2025.05.10
'스펌 레이싱'은 정자의 움직임을 현미경으로 100배 확대해서 촬영했다. 그 다음 3D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으로 영상을 변환해 현장의 관중에게 공개했다. 대회의 우승은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소속의 트리스탄 밀커가 차지했다. 이 행사의 취지는 남성 불임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 ...
지브리
애니메이션
'원령공주' 주인공 이름 붙은 신종 심해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원령공주(원제 '모노노케히메')'의 주인공 '산'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이다. 산은
애니메이션
에서 숲의 보호자로서 인간과 자연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는 캐릭터로 등장한다. 연구팀은 이 물고기의 얼굴에 있는 독특한 줄무늬가 산의 특이한 화장법과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브란치오테구스 ... ...
자각몽·악몽은 왜 꾸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9
머릿속에 있던 다양한 생각이 꿈으로 나타나는 겁니다. 예를 들어 꿈에선 낮에 봤던
애니메이션
속 날아다녔던 캐릭터가 내가 되고 내가 우리 동네에서 자유롭게 날수 있어요. 어린이 독자들이 날아다니는 꿈을 많이 꾸는 이유는 어른보다 환상적인 세계를 더 많이 보고 상상하기 때문이기도 ... ...
에디슨은 전구를 발명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4.06.29
전구가 창의적 발상을 상징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었다. 이전까지 만화나
애니메이션
에서 등장인물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렸을 때는 머리 위에 물음표나 차를 끼얹는 주전자가 떠 있곤 했다. 이런 물건들은 차차 전구로 대체됐다.전구가 뛰어난 조명 기술로 사회에 수용되기 위해선 ... ...
사람 보행 돕는 입는 로봇 개발…"역대급 성능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학습한 보행 보조 로봇이 개발됐다. Weibo Gao 제공 1993년 개봉한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월레스와 그로밋: 전자바지 소동'에서 주인공이자 발명가인 월레스는 반려견 산책 등을 수행하는 만능 '전자바지'를 구해 그로밋에게 선물로 준다. 전자바지처럼 만능은 아니지만 비장애인뿐 아니라 이동이 어려운 ... ...
딥페이크 등 생성형AI에 목줄 거는 AI
과학동아
l
2024.05.11
가합니다. (arxiv/2302.04222) 인간의 눈에는 글레이즈를 적용한 이후에도 똑같이 디즈니
애니메이션
화풍의 그림이 보입니다. 하지만 만약 생성형AI가 이 작품의 이미지를 무단으로 학습 데이터에 사용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AI에게 이 작품은 반 고흐가 그린 유화로 인식됩니다. 그래서 해당 ... ...
"안아줘요" 따뜻한 포옹, 몸과 마음 건강하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우울증, 불안 해소에 도움이 된다. 게티이미지뱅크 "나는 따뜻한 포옹을 좋아해!"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에 등장하는 눈사람 올라프의 대사다. 포옹과 악수, 마사지 등 신체 접촉이 실제로 몸과 마음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줄리언 팩하이저 네덜란드 신경과학연구소 ... ...
장동선 "시련의 시기, 과학커뮤니케이터 역할 필요…비판적 사고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2.21
분야 프런티어다. 장 교수는 “뇌과학을 공부하러 갔는데 아바타를 만들고 모션캡처,
애니메이션
기술, 3D 모델링 등의 기술을 먼저 배워야했다”며 “최신기술을 활용한 뇌 연구를 접하면서 시야를 넓힐 수 있었고 그게 나의 아이덴티티로 자리 잡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과학 ... ...
'니모를 찾아서' 흰동가리, 줄무늬 몇개인지 셀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흰동가리의 모습. 위키미디어 제공. 물고기도 산수를 할 줄 안다는 실험결과가 나왔다.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의 주인공으로 잘 알려진 열대어 흰동가리(클라운 아네모네피시)가 다른 물고기의 줄무늬 개수를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나 하야시 일본 오키나와과학기술대학원대 박사 ... ...
작은 공룡들이 사냥에 활용한 '이것'…국내 연구진이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때보다 흰색일 때, 깃털의 면적이 좁을 때보다 넓을 때 더 자주 도망쳤다.
애니메이션
으로 재현해 관찰한 실험에서도 메뚜기는 깃털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깃털이 없는 꼬리를 위협했을 때보다 깃털 꼬리를 사용했을 때 신경세포의 반응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같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