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접지
이음
결합
접속
접촉
뉴스
"
연결부
"(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차세대 대형 로켓 발사 성공·中 민간기업은 재사용로켓 발사 시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TL-3의 1단 로켓이 정상적으로 점화됐고 엔진 추력이 820t에 달했으나 로켓 본체와 시험대
연결부
의 구조적 결함 탓에 1단 로켓이 발사대를 이탈했다. 이륙 후 로켓 내 컴퓨터가 스스로 작동을 멈췄고 로켓은 시험대로부터 남서쪽으로 1.5㎞ 떨어진 깊은 산속에 떨어져 해체됐다. TL-3는 미국 ... ...
부식·누수 없는 스프링클러 배관 연결 기술 개발…"화재예방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연결할 때 필요한 부품인 레듀서(Reducer)가 일체형으로 제작돼 용접·나사 방식 대비 조립
연결부
가 단순하다. 아파트 세대 천장 스프링클러 조립에서는 기존 방식보다 작업시간이 50%까지 단축됐다. 배관이음 시스템은 내진·누수 관련 성능을 비롯한 각종 안전 성능 시험에 합격했다. 2022년 12월에는 ... ...
수소 가스 폭발 위험, 색 변화로 사전에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3.08.03
센서가 보급되면 수소 폭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수소 플랜트나 연료전지 가스
연결부
를 제작하는 기업의 수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유신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기존 저항식 및 전기화학식 수소 센서 기술의 난제인 수소 흡수에 의한 선명한 색상 변화를 구현할 수 ... ...
세번째 발사 누리호 "3단 조립 남았다"...막바지 작업 착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5.07
위성 탑재와 3단 조립 등 막바지 작업만 남아있다. 조립동에 누워 있는 2단과 3단의
연결부
는 검은 천으로 싸여 있었다. 기술 보안을 위해서 가려 놓은 것이다. 조립이 시작되면 검은 천을 치우고 2~3단을 연결한다. 원유진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단 책임연구원은 “1~2단 조립과 마찬가지로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 (16) 항공기 몸체 만들던 중소기업, 누리호 몸체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개발을 맡은 것은 1단 후방동체와 1단 탱크
연결부
, 2단 엔진 지지부, 2단 탱크
연결부
, 3단 엔진 지지부 등 총 7개다. 최 소장은 “1~3단 개발에 모두 참여를 한 것”이라며 “우주발사체 구조물이 항공기와 어느 정도 유사하기 때문에 그간의 경험을 살려 누리호 동체나 탱크 개발 등에 나섰고, 설계나 ... ...
[일문일답] 누리호 점검 시작 "오늘 점검 끝나면 예비발사일 전 준비 가능 여부 알릴 수 있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수 있다. 레벨센서 자체 문제라면 산화제 탱크 상부에 있어 시간이 필요하다. 탱크
연결부
하드웨어를 오늘 늦더라도 점검하고 결과를 오늘 밤이나 내일 아침까지 논의할 것이다. 점검작업이 끝나면 예비발사일 전 완료 가능 여부를 알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하네스나 박스에서 문제가 ... ...
누리호 발사 연기 원인 규명 착수...23일까지 발사 어려울 수도
2022.06.16
수 있다. 레벨센서 자체 문제라면 산화제 탱크 상부에 있어 시간이 필요하다. 탱크
연결부
하드웨어를 오늘 늦더라도 점검하고 결과를 오늘 밤이나 내일 아침까지 논의할 것이다. 점검작업이 끝나면 예비발사일 전 완료 가능 여부를 알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하네스나 박스에서 문제가 ... ...
누리호 23일까지 발사 가능할까...과거 발사연기 때는 어땠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6.16
산화제를 탱크에서 엔진으로 넣어주는 가압장치의 압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견됐다.
연결부
위 장치를 교체하고 체결력을 강화해 12월 13일 정상 작동을 확인했으며 같은 달 28일 시험발사체의 발사가 이뤄졌다. 고 본부장은 15일 브리핑에서 향후 누리호 2차 발사 일정에 대해 “현재로는 (문제로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9) 한국에도 우주발사체 심장 로켓엔진 찍어내는 공장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임영훈 기술2파트 과장은 “막상 조립해보면 손이나 공구가 들어가지 않고
연결부
가 어긋나는 부분도 많다”며 “공정을 세부적으로 나누면 400개 공정이 되는데 하나하나 할 때마다 다 막혀 그때마다 수리하고 새롭게 방법을 찾아내며 제작했다”고 말했다. 수많은 크고작은 시행착오를 거쳐 ... ...
뱀 비늘 본딴 유연한 배터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8
비늘 한 조각과 같은 육각형의 작은 배터리 셀을 제작하고 이를 폴리머와 구리로 만든
연결부
로 경첩처럼 접었다 폈다 하도록 연결했다. 종이접기에서 착안한 제조 공정으로 유연 전극을 자르고 접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번에 개발된 배터리를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