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단
썰기
절두
뉴스
"
자르기
"(으)로 총 24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가위 오작동 줄였다…배상수 서울대교수 연구팀, ‘Correct-Cas9’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Cas9은 수많은 유전체 서열에서의 정확성을 평가한 결과 기존 기술 대비 유전자 가위가
자르기
로 한 DNA만 골라서 정확히 자르는 능력이 향상됐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염기교정 및 프라임교정 등 최신 유전자 편집 기술의 성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핵산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뿔소 밀렵 막는 효과적 개입은 ‘뿔
자르기
’
동아사이언스
l
2025.06.08
전략이 밀렵을 줄이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통계적 근거도 발견했다. 뿔
자르기
전 대비
자르기
후 밀렵이 78% 감소했다는 데이터가 도출됐다. 코뿔소들의 뿔을 자른 8개 보호구역으로는 밀렵꾼의 침입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뿔을 잘라낸 코뿔소를 밀렵하려는 범죄 조직원들도 여전히 존재했다. ... ...
새 고주파 탐색 기술로 암흑물질 '액시온' 탐색 가능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5
운동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튜닝 메커니즘을 개발했다. ‘키리가미’라는 종이접기와
자르기
방식에서 영감을 얻은 음팽창 메타물질 구조체는 특유의 결합 배열 덕분에 한쪽 면에 팽창·수축하는 힘이 가해질 때 다른 면도 함께 팽창·수축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면 구조체의 ... ...
"아이스크림·핫도그 등 초가공 식품의 위해성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는 구체적인 증거가 없다고 말했다. 초가공 식품에 사용되는
자르기
, 끓이기, 얼리기 등은 일반적인 조리 과정이며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오히려 식품회사에서 대규모로 가공되면 식품이 안전하고 더 오래 보존되며 폐기물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끝만 희생하면 천적의 주의를 돌리지 못할 것이다. 그런데 주의를 돌리는 방법이 꼬리
자르기
만 있는 게 아니다. 어떤 문제가 생겨 주목을 받을 때 더 큰 문제가 터지면 관심이 옮겨가며 자연스럽게 뒷전으로 밀린다. 이런 일은 치밀한 계획으로 일어나기도 하고 어쩌다가 그렇게 되기도 한다. 최근 ... ...
14일은 '세계 수학의 날'…국내외 수학 행사 풍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소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원주율(π)을 주제로 파이 던지기, 파이
자르기
, 파이값 추리 등을 체험할 수 있는 파이놀이터와 과학원리를 온몸으로 배워보는 싸이치즈스마일 2개존으로 구성된다. 포스텍도 세계 수학의 날을 맞아 14일 오후 3시 14분에 맞춰 체인지업그라운드 이벤트홀에서 ... ...
국내 연구진, 세계 최고 수준 차세대 유전자가위 설계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29
발표했다고 밝혔다. 프라임 편집기는 DNA 이중가닥을 완전히 자르지 않고 한 가닥만
자르기
때문에 기존 유전자 가위보다 훨씬 안전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널리 알려져 있는 유전자 교정 기술 중 하나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보다 한 단계 진보한 기술로 평가받는다. ... ...
[주말N수학] 록밴드 '보컬리스트'가 부캐인 괴짜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02.25
있지만 연구 기간을 의미해요. 지금 풀고 있는 문제를 풀기 전까지 머리카락을 안
자르기
로 결심했거든요. 사실 지금 풀고 있는 문제를 2018년에 풀었다고 생각해서 그때 기르던 머리를 잘랐어요. 그런데 나중에 오류가 발견돼 다시 기르기 시작한 거예요. 조만간 제 손으로 풀어내 머리카락도 자르고 ... ...
김빛내리, 암 치료 위한 RNA 유전자 치료제 새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된다는 뜻이다. 또 다른 논문에서는 손도끼 모양으로 생긴 다이서가 miRNA 전구체를
자르기
위해 결합한 상태의 3차원 구조를 밝혔다. 노성훈 서울대 분자이미징연구실 교수와 공동으로 이뤄낸 성과다. 다이서의 존재는 약 22년 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활성화된 상태의 구조를 밝힌 것은 처음이다. ... ...
사랑이 넘치는 햄버거
팝뉴스
l
2022.09.24
햄버거가 아니라 그 반대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 먹기도 힘들뿐더러 입에 넣어
자르기
것도쉽지 않아서 오히려 아주 불편한 음식이라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