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돈
대형
질서
순서
차례
순번
일렬로 늘어서기
뉴스
"
정렬
"(으)로 총 234건 검색되었습니다.
땀 지속 감지해 건강 모니터링…재사용 가능한 진단키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4.01
구리 전극, 위에는 투명전극(ITO)을 배치한 시스템을 만들었다. 전압을 가하면 타이타늄이
정렬
되면서 색이 나타나는 시스템이다. 전자 발색 원리를 이용해 다양한 바이오마커(변화 지표)나 호르몬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재사용을 위한 초기화 또한 가능하다. 운동 강도가 증가하면 젖산 수치가 ... ...
"초승달 같은 태양"…북반구에서 올해 첫 부분일식
동아사이언스
l
2025.03.30
태양과 지구 사이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태양, 달, 지구가 완전히 일직선으로
정렬
돼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면 개기일식, 일부만 가리면 부분일식이다. 부분일식이 일어나면 달이 태양을 가리는 정도에 따라 태양이 마치 초승달처럼 보이기도 한다. 29일(현지시간) 캐나다 핼리팩스 ... ...
[과기원NOW] 핵융합 원료 고온 분리 신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크기의 단결정 질화갈륨(GaN) 웨이퍼를 기판으로 사용해 질화붕소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
되도록 유도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가 단순한 과학적 발견을 넘어 2차원 소재 산업화의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467-025-56649-5 - doi.org/10.1038/s41563-025-02173- ... ...
유기반도체 난제 해결해 고효율 편광 OLED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Chowdhury 제공 연구팀은 트리아자트룩센(TAT)이라는 물질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정렬
된 나선 모양으로 조립하는 데 성공했다. 나선 모양으로 쌓인 TAT 구조체는 전자가 마치 나사의 나사선을 따라가듯 나선형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했다. TAT 구조체에 자외선이나 청색광을 조사하자 밝은 ... ...
'침묵의 암살자' 비소, 간단한 센서로 2분 안에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1
활용해 비소 검출 센서를 개발했다. 액정은 액체의 유동성과 고체의 규칙적인 분자
정렬
특성이 함께 존재하는 물질 상태로 디스플레이에 주로 활용된다. 연구팀은 주변의 미세한 변화에도 액정의 분자 배열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맨눈으로 확인 가능한 광학 신호로 나타난다는 점에 착안했다. ... ...
오류 없는 양자컴 구현할 특수 소재 찾는 분석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03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양자 스핀 액체는 저온에서 고체 내부의 스핀들이
정렬
되지 못한 채 액체 분자처럼 유동적이고 무질서한 상태를 유지하며 요동치는 현상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스핀은 전자의 물리량 중 전기적 성질인 전하 외에 특정 방향을 나타내는 고유한 자기적 성질이다. ... ...
"한국이 주도하는 우주망원경 개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우선순위로 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천문연 조직 체계를 우주청 추진 임무에 맞춰
정렬
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은 박 원장과의 일문일답. Q. 천문연이 우주청 산하로 들어가면서 일각에서는 우려를 제기했다. 원장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우려사항은 크게 기초 천문 분야 ... ...
[동물do감] 공룡 닮은 새 '에뮤', 멍청한 새 오명 벗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정렬
하는 기술을 사용했으며 추가로 플라스틱 바퀴 중앙의 볼트를 회전시켜 구멍을
정렬
하는 새로운 방법까지 개발해냈다.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문제 해결 능력을 보인 것이다. 이번 연구는 고조류가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행동 패턴을 보이는 '기술적 혁신(Technical ... ...
우주망원경 '유클리드', 희귀 우주현상 '아인슈타인 고리'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고리는 멀리 있는 은하, 중력 렌즈를 일으키는 은하, 망원경(관찰자)의 위치가 정확히
정렬
될 때 형성되는 빛의 고리를 말한다. 고리를 형성한 은하는 44억20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것으로 계산됐다. 이전에 관측된 바 없어 아직 이름도 없는 은하다. 현재까지 관측된 중력 렌즈 현상은 1000개 미만으로 ... ...
단백질 '4차 구조' 최대 1만배 빠르게 식별·비교 도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수 있게 됐다. 단백질 복합체의 4차 구조에서 생물학적·의학적 의미를 발견하려면 '구조
정렬
(structural alignment)'이라는 과정을 통해 여러 복합체를 비교해야 한다. 하지만 단백질 복합체 구조 데이터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며 기존 도구는 방대한 복합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비교하는 데 한계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