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집적"(으)로 총 320건 검색되었습니다.
-
- ETRI, 양자컴퓨팅 위한 '8광자 큐비트 칩' 최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9.04
- 연구진은 후속 연구를 통해 이번 논문에서 발견된 것보다 큰 크기의 8큐비트 집적회로를 만들어 총 8개의 광자에서 발생하는 양자 현상들을 연구 중이다. 연구진은 향후 기술의 완성도를 높여 올해 중 16큐비트 칩 개발에 도전할 계획이다. 이후 32큐비트로 확장 개발해 양자 기계학습(ML)을 ... ...
-
- [IGC2024] 동해 심해 유정 '홍게', 석유시스템 핵심조건 시추로 최초 확인 동아사이언스 l2024.08.29
- 가스가 저장되는 저류암, 석유 가스를 저류암에 가둬주는 덮개암 그리고 석유 가스가 집적될 수 있는 지질 구조인 트랩이다. 저류암은 사암층으로 이뤄지며 덮개암은 이암층으로 구성된다. 앞서 홍게에선 전자파 등을 활용하는 물리탐사를 통해 이 4가지 조건이 모두 간접적으로 확인됐다. 시추 ... ...
-
- [2025예산] 과기정통부 19조로 5.9% 늘려…출연연 글로벌톱전략연구단 83% 증액동아사이언스 l2024.08.28
-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예산을 2024년보다 256억원이나 증가한 530억원을 투자한다. 초고집적반도체용 극한박막소재 및 공정기술개발, 무탄소에너지 핵심기술개발을 신규 투자사업으로 신설해 각각 40억원, 57억원을 배정했다. 출연연 예산 중 1833억원을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에 투입해 출연연간 ... ...
-
- DGIST "손흥민급 스타 교수 유치, 구성원 1/3은 외국인으로"동아사이언스 l2024.08.09
- 2년제 과정을 제공한다. ‘대구‧경북 판교’를 목표로 하는 비수도권 최대 ICT/SW 집적단지인 수성알파시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산학연 협력 강화를 위한 ‘ABB(AI, Big Data, Blockchain) 글로벌캠퍼스'를 조성한다. DGIST는 수성알파시티 내에 2000평 여유 부지를 확보해둔 상태로 ... ...
-
- [과기원NOW] KAIST, 신개념 제노-프리 줄기세포 배양 플랫폼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7.31
- 교수는 '뉴로모픽 광학 전이학습 AI 엔진을 위한 이종집적 다중소재 광집적회로 칩렛'을 주제로 글로벌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이건우 DGIST 총장은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반도체 원천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국제 협력을 통해 반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활용 p형 반도체 소재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7.23
-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고해상도·저전력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뿐 아니라 반도체 집적도 증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칩을 여러 개 쌓아 기판 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소비전력을 줄이는 적층 방식 중 하나인 모놀리틱 3D(M3D) 방식은 기존 고온 반도체 공정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 ...
-
- 반도체 기술 협력 위한 '한-EU 반도체 공동연구' 본격 착수동아사이언스 l2024.07.17
- 과제에서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 자율주행 분야의 응용 등에 필요한 첨단 이종집적화와 뉴로모픽 분야 원천기술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또 ‘제2회 한-EU 반도체 연구자 포럼’을 내년 한국에서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에는 한-EU 반도체 R&D ... ...
-
- [과기원NOW] KAIST, 항암제 효과 평가할 종양모델 칩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7.16
- 이용해 3가지 서로 다른 조성으로 이뤄진 36개의 종양 모델을 하나의 미세 유체소자에 집적시켰다. 세포를 배양해 물질 수송 핵심 구조물인 혈관벽과 종양 덩어리를 모사해 하나의 소자에서 12가지 실험조건의 약물 평가를 수행했다. 바이오프린팅과 랩온어칩 통합기술을 통해 체외 종양 모델을 ... ...
-
- 2037년에서야 가능한줄 알았는데…국내 연구진, 초미세 반도체 구현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4.07.03
- 회로 구현에도 성공했다. IEEE가 보고하는 국제 디바이스 시스템(IRDS) 로드맵에서는 집적도 측면에서 2037년까지 0.5nm 수준의 반도체 기술을 전망했다. 12nm 이하의 트랜지스터 게이트 길이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1차원 거울 쌍정 경계로 인해 폭이 약 3.9nm인 것을 입증해 실질적인 ... ...
-
- 국내 연구진, 3차원 초고집적 뉴로모픽 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7.01
- 배리어층을 이용해 수직-반응형 ECRAM(Electrochemical random-access memory) 소자를 3차원으로 초고집적화시킬 수 있었다. 뉴로모픽 반도체를 구현하는 데 쓰이는 수직-반응형 ECRAM 소자는 딥러닝을 위해 설계된 비휘발성 메모리 중 하나다. 김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차원 반도체 소재의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