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피드
스피이드
figure
뉴스
"
피겨
"(으)로 총 3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영상] 냉장고 정리를 로봇에게 부탁해
SEIZE
l
2025.03.01
전달하는 것이다. 이는 헬릭스 AI가 두 대의 로봇을 하나의 몸처럼 조종하기 때문이다.
피겨
AI는
피겨
02가 물건을 쥐는 법도 보여줬다. 로봇손을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어 인공지능인 헬릭스AI가 이를 섬세하게 조절한다. 덕분에
피겨
02는 깨지기 쉬운 유리병과 복잡한 모양의 레고 ... ...
[사이언스영상] 하루에 부품 1000개 조립하는 로봇
SEIZE
l
2024.12.06
1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하다. 4개월 만에 속도는 4배 상승했고 정확도는 7배 좋아졌다.
피겨
AI에 따르면,
피겨
02는 하루에 1000건의 부품 조립 업무를 할 수 있다. ●씨즈영상 자세히보기 https://www.instagram.com/reel/DDJoxlaJUe6/?igsh=MXNpejA2bWlrajRzeA=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큰 무대에 서면 몸이 얼어붙는 이유
2024.10.16
프리스케이팅 장면이다. 연합뉴스 제공 필자가 젊었을 때까지만 해도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경기가 나오면 '이게 예술이지 스포츠인가'라며 동작의 아름다움을 감상했다. 당시만 해도 선수 대다수는 유럽과 북미, 특히 동구권 국적이었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 김연아라는 선수가 혜성처럼 ... ...
'물리학 109년 난제' 풀었다…미시세계 변화, 거시세계에 전달되는 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운동량 보존 법칙과 함께 물리현상을 설명하는 가장 근본적인 세 가지 법칙 중 하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가 회전할 때 팔을 안쪽으로 모으면 회전 중심으로 몸이 가까워지며 회전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을 설명하는 원리다. 각운동량 보존 법칙은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는 거시세계뿐 아니라 ... ...
피겨
스케이팅 선수 '쿼드러플 점프' 가능한 과학적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3.31
과정은 스케이터가 넘어지거나 넘어진 후에도 경기를 계속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피겨
스케이팅 선수의 뇌는 번개처럼 빠른 회전을 한 다음에 현기증을 억제한다. 회전하면 내이의 체액이 출렁거린다. 대부분의 사람은 회전이 멈춘 후에도 한동안 출렁거림이 계속된다. 이는 뇌가 회전이 ... ...
[올림픽 과학상식] 올림픽 경기에 사용하는 눈과 얼음
동아사이언스
l
2022.02.12
얼음 자갈을 표면에 던졌을 때 미끄러질 때까지 약 2.5cm 칼날로 얼음을 긁어내야 한다.
피겨
스케이팅의 얼음 온도는 영하 3도에서 영하 2도 정도로 스피드 스케이팅이나 컬링보다 살짝 높다. 선수가 스케이트날로 착지할 때 얼음 온도를 조금 더 높게 유지해 부서질 가능성을 낮췄다. 영하 10도~영하 ... ...
[올림픽 과학상식]"얼음은 왜 미끄러워요?" 아이가 묻는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22.02.08
비롯된다. 그러니 겨울올림픽 때 얼음을 만드는 장인들은 쇼트트랙의 경우 영하 7도,
피겨
는 영하 3도 정도에 맞춘다. 강한 힘으로 얼음을 지치고 나가는 아이스하키는 영하 9도 정도로 관리한다. 양인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열유체표준센터장은 “수막 이론은 잘못 알려진 과학 상식 중 ... ...
NASA본부 흑인여성 엔지니어 '메리 잭슨 본부'로 개명…영화 '히든
피겨
스' 두 번째 주인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2.28
법을 통과시켰다. 캐서린 존슨에 이어 메리 잭슨의 이름이 NASA에 새겨지면서 히든
피겨
스 속 주인공 중 남은 하나인 도로시 본의 이름이 새겨질지도 주목받고 있다. 도로시 본은 NASA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매니저로 유색 인종을 별도로 분리한 랭리연구소 내 계산부서 ‘웨스트 에어리어 ... ...
NASA 본부 새 이름 '메리 W.잭슨 헤드쿼터' 흑인 여성엔지니어 이름 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6
미국 항공우주국(NASA) 본부 이름이 ‘메리 W. 잭슨’으로 변경됐다. 사진은 메리 잭슨. NASA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 본부 이름이 ‘메리 W. 잭슨’으로 변경됐 ... 연구시설 명칭에 존슨의 이름을 붙였다. 지난해에는 NASA 본부 건물 앞 도로명을 ‘히든
피겨
스 웨이’로 지정하기도 했다. ... ...
과학동아 사이언스 보드 함께 탈 연구자 3人
과학동아
l
2020.03.14
KAIST 기계공학과 석좌교수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두 달가량 앞둔 2017년 12월 11일. ‘
피겨
퀸’ 김연아 선수를 시작으로 각계 유명 인사들의 손을 거쳐 대전에 도착한 성화는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HUBO)’의 손에 전달됐다. 휴보는 손에 성화를 쥐고 성큼성큼 걸었고, 자신을 개발한 ‘아버지’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