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figure"(으)로 총 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2023.09.24
- 판단이 어려운 감염병 해결의 원인 Infectious Disease Control in the 20th Century, adapted from figure 1 i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9). Achievements in public health, 1900-1999: control of infectious diseases. MMWR, 48(29) 미국 질병관리 및 통제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 위와 같은 보고서를 제출하기 ... ...
- "슈퍼전파자 외엔 코로나 실내 공기전파 위험 높지 않아"동아사이언스 l2020.07.28
- 주된 경로는 아닐 것이라고 여러 차례 밝혀온 방역당국의 주장과도 일치한다. Figure 3 unknown (1941-45). 미 국립 고고학 기록 보관소 소장. 진화심리학자 데이비드 버스는 기침에 대한 본능적 혐오를 예로 들면서 인간에게 ‘차이 탐지 적응’이 진화했다고 주장한다. -위키미디어 연구팀은 “많은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강력한 신념에 가려질 뻔한 네안데르탈인의 진실 2018.03.11
- ‘새로운 인간 종’이라는 생각은 감히 떠올릴 수 없었던 것이죠. Figure 3 루돌프 피르호.그는 근대 병리학의 창시자이자 위대한 위생학자이며, 훌륭한 인류학자이자 자유주의자였다. 그는 평생 옳은 일을 위해 싸웠지만, 과도하게 강한 신념은 ‘진화’라는 진실을 외면하게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멀쩡한 사람이 SNS 마녀사냥에 열내는 이유2018.02.25
- 이론에 따르면, ‘나쁜 사람’ 같기만 하면 일단 무조건 경계하는 것이 유리하니까요. Figure 4 Unknown (1613). 마녀로 지목을 받은 여성이 손발이 묶인 채 강물에 던져지고 있다. 마녀로 몰린 여성은 혹독한 고문을 당했는데, 결백을 입증하려면 고문을 모두 견뎌야 했다. 대부분은 고통에 못 이겨 거짓 ... ...
- 낙뢰에 맞으면?팝뉴스 l2018.01.31
- 끝없이 퍼져나가는 듯한 무늬가 몸에 남게 된다. ‘리히텐베르그 피규어 Lichtenberg figure’라고 부른다. 또 고운 이름도 있는데 ‘번개 꽃 lightning flowers’이라 부르기도 한다. 번개는 사람 몸 뿐 아니라 땅에 떨어져도 비슷한 모양의 흔적을 남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 위에 있는 분이 맨날 거짓말만 합니다. 어떡할까요?2016.11.21
- 전기전도율은 변하지 않았다(우측). 자기 기만은 내적 심리 상태와 깊은 관련이 있다. - Figure 3 Gur R Sackeim H (1979) 제공 ● 거짓말의 패턴 직장 상사의 거짓말을 말없이 들어주는 일은 참 고역입니다. 게다가 그 거짓말이 자신에게 피해를 주는 험담이라고 하면, 정말 견디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대놓고 ... ...
- [과학동아 단독] 미국천문학회 “송유근 논문 철회”과학동아 l2015.11.25
- is appropriate for historical reasons. Figures may only be reproduced with permission and must be fully cited in the figure caption, following guidelines that are posted on the ApJ and AJ websites. The retraction notice will appear in the next available issue of The Astrophysical Journal. Ethan T. Vishniac Editor-in-Chief The Astrophysical Journal W. Butler Burton Associate Editor-in-Chief ...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동아사이언스 l2014.01.13
- ‘아, 이 그림!’ 할 정도로 널리 알려졌다. 그런데 이 그림은 ‘보링의 인물(Boring figure)’로도 불린다. 미국 하버드대의 저명한 실험심리학자 에드윈 보링이 1930년, 애매모호한 지각현상의 예로 이 그림을 다룬 논문을 발표하면서 이 그림이 유명해졌기 때문이다. 심리학자 에드윈 보링은 만화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