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otch"(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현병 치료제 '할리페리돌' 장기간 노출, 인간 뇌 발달 방해동아사이언스 l2025.08.13
- 성숙 단계별로 분석했다. 할로페리돌이 세포 운명 결정과 분화를 조절하는 핵심 경로인 'Notch1 신호'를 억제하고 신경 발달을 방해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수십 일간 약물에 노출된 오가노이드는 크기가 줄고 신경 구조 이상과 발달 지연이 나타났다. Notch1 신호 감소에 따라 신경줄기세포의 정상 ... ...
- 자가면역질환 완화에 관여하는 핵심 T세포 발견동아사이언스 l2025.07.31
- 뇌척수염(EAE) 쥐 모델’과 궤양성 대장염 환자 조직에서 Notch2 발현 CD4 T세포가 단백질 ‘Notch2’는 높은 수준으로, 단백질 ‘Foxp3’은 낮은 수준으로 발현하는 특징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Notch2 발현 CD4 T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인 막결합형 TNF-α와 TGF-β는 조절 T세포와 직접 상호작용하며 ... ...
- 태아 뇌 속 '만능세포' 분화 메커니즘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24.12.24
- 인위적으로 활성화했을 때 교세포가 더 많이 생성됐고 뇌 발달에 중요한 델타-노치(Delta-Notch) 신호경로가 활성화된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델타-노치 신호경로는 세포 분화, 증식, 세포 간 상호작용을 조절하는데 핵심 역할을 한다. p18 단백질은 교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Dlx2라는 인터뉴런을 ...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3.01.10
- 공동으로 나노기술과 세포공학 기술을 이용해 조직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노치(Notch) 수용체 신호 활성화 과정과 알츠하이머의 원인으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Aβ) 단백질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셀 바이올로지’에 지난해 12월 2일 ... ...
- 줄기세포로 사람 소장 상피 조직 세계 첫 개발…신약 인체 흡수 평가 활용 기대동아사이언스 l2021.06.08
- 분화한다. 여기에 소장 상피 세포 분화에 필요한 신호전달체계인 WNT 신호저해제와 NOTCH 신호 활성제를 찾아내고 이를 이용해 전구체가 다양한 소장 세포로 분화하도록 했다. 이렇게 만든 모델은 실제 소장 상피 세포와 비슷한 유전자와 단백질을 발현하고 약물 흡수와 대사에 필요한 효소가 ... ...
- 혈액세포 만드는 '조혈모세포' 핵심 유전자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0.11.24
- 때 신호경로에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세포 발생을 조절하는 ‘노치(Notch)’라는 신호전달 경로에 문제가 생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위 사진). Supt16h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종양을 억제하는 유전자인 p53이 지나치게 발현되는데, 이 과정에서 노치를 억제하는 유전자(phc1)가 ... ...
- 암 발생 유전자, 알고 보니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동아사이언스 l2018.11.23
- 이를 통해 ‘Notch’라 불리는 인간의 신경신호전달체계에 관여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Notch는 뇌의 생성, 생체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줄기세포의 증식과 분화, 암세포의 생성 등에 관여한다. 결국 연구진은 Ttyh1은 뇌생성에 중요한 신경줄기세포의 자가 증식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한 ... ...
- 스마트폰 大화면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8.11.10
-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말한다. 애플의 경우 아이폰X부터 화면의 일부를 파내는 노치(notch) 디자인을 적용하고 물리적인 홈버튼을 제거하면서 베젤의 크기를 줄였다. 삼성 갤럭시 시리즈도 작년부터 홈버튼을 없애 베젤을 줄였다. 베젤을 축소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디스플레이다. 이정익 ETRI ... ...
-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동아사이언스 l2018.06.08
- 지난 뒤라고 추정했다. 피데스 연구원은 “세 가지 돌연변이 유전자군이 생기면서 NOTCH 신호 작용이 활발해져 방사성 신경교세포가 증가했으며, 이것이 뇌용량 증가로 이어졌다”며 “이 유전자가 없으면 소뇌증이나 뇌전증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한편 같은날 학술지 ‘셀’에 ... ...
- 머리 큰 인류는 어떻게 태어났을까2018.06.08
- 피데스 미국 샌타크루즈 게놈학연구소 연구원 팀은 인간의 1번 염색체 위에 존재하는 NOTCH2NL이라는 유전자들이 방사신경교세포에서 특히 높은 활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해 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 염색체에 이 유전자가 없으면 뇌가 작아지거나 조현병 증세를 보일 확률이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