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각
촉감
감촉
반응
터치
공감
반향
스페셜
"
감응
"(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DGIST 기초학부 정욱진 학생, 제10회 동교인재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관한 JCR 랭킹 Q1 저널의 SCI 논문 공동 제1저자, 비중금속 양자점을 이용한 적외선 광
감응
센서 개발에 관한 국제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등 여러 해외 유수학술지 게재 논문 공저자 등재를 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 에너지밸리기술원이 ‘2023년 에너지밸리기술원 비전선포식 및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때문이다. 식물의 각 부위에는 물리적 변화를 이온 흐름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기계적
감응
이온채널(mechanosensitve ion channel)이 존재하여 물리적 자극에 의해 수용체전위(receptor potential)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동물도 외부의 물리적 감각을 인식할 때 유사한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식물에 존재하는 ... ...
[오늘과학] 지구가 대기오염 물질을 스스로 정화하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4.10
프로브는 특정한 이온이나 물질을 인지했을 때 빛 신호를 통해 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광
감응
제를 말한다. 연구 결과 어둠 속에서도 공기 중 물방울과 주변 공기 사이 표면에 존재하는 강한 전기장이 OH를 자발적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니즈코로도프 교수는 "빛 없이도 OH는 충분히 ... ...
맨눈으로 체온 측정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30
활용되는 필름 타입의 멤브레인이 아닌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밀도와 방향을 조절해 온도
감응
색 변화 센서의 반응성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ˮ며 "정렬된 나노섬유 및 얀 타입의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활용하면 웨어러블 타입의 색 변화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신속·정확하게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
2021.04.16
빛을 쬐면 열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요컨대 MPN은 빛과 자기장에 동시에
감응
하는 물질이다. 우리 연구진은 MPN을 PCR에 접목하여 현장에서 신속하게 유전자를 증폭하고,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장비인 ‘나노PCR(nanoPCR)’을 개발했다. 빛을 열에너지로 바꾸는 ... ...
재료硏, 효율 대폭 끌어올린 고체전해질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2
태양전지의 굽힘 및 세탁성을 실험하는 장면이다. 재료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염료
감응
형 태양전지 핵심소재인 고체 전해질을 개발하고 태양빛을 전기로 전환하는 효율인 광전효율을 세계적 수준인 6% 이상으로 끌어올린 고체섬유형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재료연구소는 송명관 ... ...
충격 받으면 멍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구부리는 다양한 변형에서도 색이 변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스피로피란 기반 응력
감응
형 스마트 고분자 소재의 기계적 민감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고 분석을 통해 감도 향상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형 웨어러블 센서 및 인공 피부로 ... ...
[과학게시판] DGIST-SKT, AI 인재 양성 위해 협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5일 오전 11시 50분 충북 진천 KISTEP 국제회의실에서 수요포럼을 연다. 유범재 실감교류인체
감응
솔루션연구단 단장이 가상 및 증강현실 산업 현황과 주요 이슈들을 발표하고 산업 활성화방안을 제시한다. 포럼은 유튜브(https://www.youtube.com/KISTEPTV)로 생중계된다 ... ...
[인간·공감·AI]② AI가 몸 속을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2018년 자폐 어린이의 표정과 생체신호를 읽고 적절히 반응해 사회성을 개선하는 정서
감응
형 로봇을 개발해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했다. ASD 어린이는 표정이 계속 변하는 복잡한 사람의 모습보다는 표현이 단순하고 반복 행동이 가능한 로봇에 더 편안함을 느낀다는 점에서 착안했다.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효율을 높이는데도 기여한 이 분야의 대가다. 사실 미야사카 교수도 염료
감응
전지의 새로운 유형으로 페로브스카이트전지를 만든 것이다. 결국 한 자리가 남아있는데 마지막 게임, 즉 페로브스카이트전지 상용화에 결정적인 기여(불안정한 물질이라 수명이 짧은 게 걸림돌이므로 이를 획기적으로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