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랑
물길
시궁창
배수구
스페셜
"
개천
"(으)로 총 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피나는 노력, 과연 정답일까?
2024.10.26
제공 "열심히만 하면 어떤 어려움이든 다 이겨내고 성공할 수 있다"는 류의
개천
용 이야기들은 다양한 사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미국에서 흔히 하는 아메리칸 드림과 관련된 이야기들이나 유색인종들 사이에서 회자되는 '존 헨리이즘(John Henryism)' 류의 이야기들이 여기에 속한다. 후자는 ... ...
[화보]서울 밤하늘에 나타난 '하트 성운'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13부분으로 나누어 촬영하였으며 플라토 크레이터의 내부 분화구, 알프스 계곡의 실
개천
이 명확히 보일 정도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었다. 천문연 제공 은상 한종현 씨의 '화성과 위성들의 공전'. 화성을 공전하는 두 위성인 포보스와 데이모스를 담은 작품이다. 안쪽 궤도를 도는 것이 포보스이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엘리트 과학자는 과학에 도움이 되는가
2022.05.05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리 사회가 더는
개천
에서 용이 나지 않는 것처럼 과학자 사회도
개천
용을 기대할 수 없는 구조로 변질되고 있다는 뜻이다. 미국 의생명과학계의 연구비 분배는 미국사회의 모습을 꼭 닮았다. 상위 10%의 연구자들이 연구비의 절반 이상을 독식하고, 하위 40%의 연구자들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계천의 왜가리는 별종일까
2021.09.14
사이 이 행동(문화)이 영국 전역의 박새로 퍼진 것이다. 청계천의 왜가리가 우리 동네
개천
까지 날아오는 데는 30분이면 넉넉할 것이다. 이곳에 와서 사람들 바로 옆에 있어도 괜찮다는 걸 보여주면 여기 사는 왜가리와 백로도 생각이 바뀌지 않을까. 동물 문화에 대한 최초의 보고는 1949년 학술지 ... ...
골드바흐의 추측, ‘약하게’ 증명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8
한다. 기사는 장 박사의 증명법을 사금을 캐는 과정에 비유하고 있다. 즉 소수는
개천
바닥 모래에 일렬로 흩어져 있는 금조각이고 장 박사는 7000만 단위 길이의 체를 만든 것. 그리고 바닥 모래를 체로 걸렀을 때 금 조각이 두 개 있는지 확인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개발했고 그 결과 이 체로 금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