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혁신
쇄신
혁명
유신
개선
재조직
개편
스페셜
"
개혁
"(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2025 국가전략기술 혁신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16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태일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의 '혁신경제를 위한 규제
개혁
전략', 이강호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의 '인구위기로 인한 축소사회 대응전략' 등이 예정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23일 'DGIST E7(컨실리언스홀)'에서 201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尹 파면 후 과기정책 표류…연구자 중심 '글로벌협력' 고려해야
2025.04.09
겉으로는 선진·창조를 외치면서 사실은 선진국의 첨단기술을 추격하자는 과학기술
개혁
도 마찬가지다. 밝은 미래를 꿈꾸던 젊은 의대생 2만2000명과 전공의 1만300명을 느닷없이 깊은 절망의 늪에 밀어 넣어버린 의정 갈등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교육부 장관이 개인적 소신을 핑계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대 편입 확대는 이공계 죽이기…화해·공존의 길 찾아야
2025.03.26
한다. 이용훈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은 24일 발표한 담화문에서 "정부와 의료계는 의료
개혁
이 국민의 생명권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깊이 성찰하고 열린 마음과 성숙한 자세로 대화하며 함께 노력해야 한다. 정부, 의료계, 그리고 국민 모두가 상대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갈등을 넘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핵에 길 잃은 과학기술·교육·의료
개혁
2024.12.18
자칫하면 총장이 의학 교육을 망치고 멀쩡했던 K-의료 체계를 무너뜨린 엉터리 의료
개혁
의 '부역자'로 역사에 남겨지게 된다. 이제라도 정신을 차려야 한다. 수험생과 학부모의 반발을 극복하는 일이 만만치 않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의대 증원으로 초래될 훨씬 더 심각한 재앙을 막아내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내년 3월 도입 AI디지털교과서, 미완성 기술에 교육 맡기나
2024.11.20
입을 닫고 있는 것도 놀라운 일이다. 지난 20여 년 동안 혼란스럽게 이어져 왔던 교육
개혁
의 피로가 누적된 결과일 수도 있겠지만 그동안 우리의 '놀라운 발전'을 가능하게 만들어준 교육의 성과를 통째로 부정하는 어쭙잖은 선무당의 해괴한 주장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 무엇보다도 AI 디지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윤석열 세대' 의대 2025학번의 암울한 미래
2024.09.11
제공 2025학년도 수시모집이 시작됐다. 정부가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의료
개혁
'의 핵심인 '의대 2000명 증원'의 열차가 결국 힘겨운 여정(旅程)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원서 접수 이틀 만에 수시 모집정원(3047명)의 4배나 되는 1만3339명의 지원자가 몰렸다. 의대를 향한 수험생의 뜨거운 열기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해괴한 주장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 이명박 정부의 철저하게 실패해 버린 어설픈 교육
개혁
을 다시 반복할 수는 없는 일이다. 교육부가 AI 디지털 교과서의 졸속 시행을 거부하는 청원에 서명한 학부모가 5만 명이 넘는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교육부가 겉으로는 '사교육 카르텔'의 척결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高)비용·저(低)효율'의 상징으로 각인되고 말았다.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과학기술계의
개혁
'이 단골 메뉴로 등장했던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 이제 국내에서 설 자리를 잃어버린 과학자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이공계 인력의 해외 유출이 30만 명을 훌쩍 넘어선 것이 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어'보다 '영어'에 더 정성인 사회
2024.06.19
부산교대 이광현 교수의 분석이다. 사실 학생들의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는 5·31 교육
개혁
이 현장에 본격적으로 적용되었던 국민의 정부에서 시작되었다. '무엇이나 한 가지만 잘하면 된다'는 이해찬 당시 교육부 장관의 허무맹랑한 주장이 학교 현장을 초토화시켜 버렸다. 학생의 선택권을 보장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
개혁
', 돌아올 수 없는 다리 건너나
2024.05.22
중증 환자를 전세기에 태워서 외국 병원으로 이송하겠다는 보건복지부는 바닥부터
개혁
해야 한다. 결국 어설픈 의대 증원은 내년으로 미룰 수밖에 없다.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명망있는 의사들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서 무너지고 있는 의료 현장을 바로 세울 수 있는 길을 찾아내야 한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