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도덕철학"(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든 생명은 결국 하나라는 믿음2021.10.23
- 픽사베이 제공 '인간은 죽으면 어떻게 될까'라는 질문에 대해 죽으면 흙이 될테고 그 흙에서 새로운 생명들이 자라날 테니, 죽음은 삶과 맞닿아 있고 생명이란 순환하는 것이 아닌가 같은 두루뭉술한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어떤 삶도 완전히 소멸하기보다 삶의 고리 속에서 영원히 이어지는 것이 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계는 '공정한 차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까2021.02.25
- “과학자 사회는 생산성과 보상이라는 양 측면에서 고도로 계층화된 사회다. 이 분야의 연구에 따르면 약 15%의 과학자가 전체 논문의 약 50%를 발표하고 있고, 국제과학논문인용색인(SCI)에 속한 저널에 발표된 논문 중 70%의 논문이 단 한 번 인용된 반면, 0.009%의 논문만 100회 이상 인용된다. 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포고기는 동물고기를 대신할 수 있을까2021.01.05
-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선 지구촌 음식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지만 동물에게서 나온 육류를 대체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언스플래쉬 제공 문제의 원인을 해결하는 대신 우리는 그 문제를 상쇄하기 위해 뭔가를 발명한다. - 제니 클리먼, ‘AI 시대, 본능의 미래’에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기술인력’이란 무엇인가2020.12.03
- 문재인 대통령은 인공지능 인재 10만명을 양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하지만 그런 정책은 박정희 시대의 패러다임에서 단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한 낡은 것이다. 청와대 제공 “(과학기술인력은) 기관이나 단위에서 과학기술활동에 직접 참가하고 있으며, 보통 그들의 용역에 대한 대가를 받는 ... ...
- [대학의 과거와 미래] ⑦우리 대학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2020.11.10
- 코로나로 인해 한적한 MIT 캠퍼스의 모습. MIT Science(@ScienceMIT) 제공 중세 대학이 근대의 정치, 경제, 사회의 변화 속에서 그 역할이 종료되었듯이, 4차 산업혁명으로 표현되는 인류사적 전환기에 근대 대학의 변화는 피할 수 없는 일이다. 대학이 담당해 온 연구와 교육의 두 가지 핵심 기능 중 교육 ... ...
- [과학게시판]'한국판 뉴딜, 성공의 조건' 포럼 外동아사이언스 l2020.10.13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공학한림원,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은 이달 14일 오후 3시 ‘한국판 뉴딜, 성공의 조건은?’을 주제로 온라인 공동포럼을 연다. 박수경 대통령비서실 과학기술보좌관이 발제를 맡는다. 이후 박영일 강원연구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초파리,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해커2020.10.08
-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연구 재료를 개인 혹은 연구공동체와 공유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공유의 대상은 우리가 연구해 왔던 재료뿐 아니라 아직 논문으로 출판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연구자에게 도움이 될 재료들을 포함한다. 논문으로 출판할 때까지 연구 재료를 공개하지 않고 가둬두는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생물학의 새로운 도덕경제2020.09.23
- 1979년 록펠러 미팅에서 유전자은행의 설립이 논의되고 나서 이후 1982년 로스 앨러모스 연구소에 유전자은행을 설치하는 역할이 주어지기 전까지 무려 3년의 기간이 걸렸다. 미국이 주춤하던 그 시간에 유럽의 실험생물학자들이 유전자은행의 설립을 주도하기 시작한다. 유럽의 EMBL은 유전자 염기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2020.08.27
- 미국립생의학연구소(NBRF)에 재직할 당시의 마가렛 데이호프(왼쪽에서 두번째) 의 모습. 그는 이 곳에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의 데이터베이스를 20년동안 구축했다. 익스페리멘터스 뮤지엄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제한도 두지 않고 이 데이터를 전 세계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했다는 것입니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2020.07.30
- 후베르트 마르클(1938~2015)이 총재로 재직할 당시, 빌헬름카이저연구회가 유대인을 대상으로 인간생체실험을 수행한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막스플랑크학회 제공 “카이저 빌헬름 학회가 나치의 정치적 이념에 동참하고 때로는 적극적으로 그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생체 실험에 동참했다는 과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