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종
어린나무
어린 나무
종묘
나무
나무모
꺾꽂이 묘목
스페셜
"
묘목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데 걸림돌 '인 문제' 해결됐나
2025.03.05
정확히 200파운드(약 91㎏)의 건조한 흙을 화분에 담고 무게 5파운드(약 2.3㎏)인 버드나무
묘목
을 심은 뒤 물을 주며 5년 동안 키웠다. 이때 화분에 먼지가 들어가지 않게 세심히 관리했다. 5년 뒤 버드나무 무게는 169파운드 3온스(약 77㎏)로 크게 늘었지만 흙의 무게는 여전히 200파운드였다. 이에 대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줄기를 보면서 왠지 마음의 위안을 받는 듯했다. 식물원 내 매장을 둘러보다 커피나무
묘목
의 짙은 녹색 잎에 끌려 하나 샀다. 잘 키워서 열매를 봐야겠다. 식물이 빛을 향해 자라는 현상인 굴광성은 파란빛 세기의 차이를 감지해 작동한다. 어두운 곳에 둔 옥수수 자엽초의 오른쪽에서 파란빛을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못하고 광합성이 부족해 성장이 저해되거나 죽기도 한다. 그래서 산에 조림할 때에도
묘목
을 심는 초기에는 좁은 간격으로 심지만 어느 정도 나무의 높이 생장이 확보된 이후에는 줄기의 부피생장을 도모하기 위해 솎아베기를 해 주변 공간을 마련해준다. 좁은 면적에 나무를 심고 솎아베기 ... ...
[프리미엄 리포트] 달 토양에서 키운 첫 싹, 6일 뒤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2.08.27
자란
묘목
들은 모사토에서 자란
묘목
과 성장의 차이를 보였다. 달 겉흙에서 자란
묘목
은 잎이 크게 자라지 못했고, 뿌리가 튼튼하지 않았다. 과학동아DB 6일 뒤 급격한 발육부진 달 겉흙에서 자란 식물은 씨앗을 심고 6일 뒤 급격히 발육 부진을 보였다. 대조군인 지구 화산재에서 자란 식물만큼 ... ...
[표지로 읽는 과학]현대 임업의 발상지, 기후변화로 새 산림 관리법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5
계속된 가뭄으로 작은
묘목
들은 많이 죽었다. 그러나 숲에는 소나무 대신 포플러
묘목
들이 3m 이상 높이로 빠르게 자라나고 있었다. 그대로 남은 지역에는 더 많은 식물과 곰팡이, 곤충 종이 나타났다. 독일 산림의 3% 정도만 이처럼 관리되고 있지만 독일 정부는 생태학점 이점을 근거로 이 수치를 5 ... ...
도시 발 아래에 '땅 속 탄소 저장고'가 있다...새롭게 주목 받는 지하 탄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과거 농경활동으로 67만7600t의 유기탄소가 묻혀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느티나무
묘목
을 1254만 그루 심어서 약 1.2m 높이의 굵기(흉고직경)가 15cm가 될 때까지 키워야 겨우 흡수할 수 있는 양이다. 이번 연구는 도시도 탄소를 충분히 흡수하고 저장할 능력이 있으며 실제 많은 양의 탄소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과 동물 유전자 편집 시대 주도하는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19.08.04
가위’로 유전자를 교정한 토마토
묘목
의 모습을 2일자 표지로 실었다. 초록색의 토마토
묘목
이 투명한 배양 접시 위에서 파릇파릇하게 자란 모습을 볼 수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절단해 유전자를 교정하는 기술로, 길잡이 RNA와 DNA를 잘라내는 절단 효소(단백질)로 ... ...
[사이언스지식IN]남북 협력으로 북한 산림 푸르러질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5.09
재생수종들을 확대할 수 있도록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에 지원할
묘목
관리를 위해 현재 강원도 철원 통일양묘장, 민간에서 조성한 화천 미래숲 양묘센터가 운영 중입니다. 산림청도 내년 완공을 목표로 3ha 규모의 강원 고성 양묘장을 건설 중입니다. 이에 더해 산림청은 201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프랑스인 에드몽 제넷이 토머스 제퍼슨에게
묘목
을 줬고 제퍼슨이 다시 버지니아주의
묘목
업자 캘렙 랠스에게 건네 이를 심은 게 시초라는 것. 그리고 이 품종에 두 사람의 성을 따 랠스 제넷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흥미롭게도 후지는 국광과 레드 딜리셔스(Red Delicious)라는 품종을 교배해 얻어진 ... ...
[이달의 역사]프리스틀리, 과학을 위해 살고 과학을 위해 죽다
KISTI
l
2014.04.10
새로운 기체를 발견했다. 또한 우연히 물 위에 매달아 놓은 밀폐된 유리그릇 안에 박하
묘목
이 멀쩡히 잘 자라는 것을 보고 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발견했다. 당시만 해도 동물이나 식물은 신선한 공기가 없는 공간에 오래 갇혀 있으면 살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광합성의 발견은 중요한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