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사
상사
근사
닮음
부합
likeness
스페셜
"
비슷함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위)도 만들 수 있다. 오크라톡신A 분자의 일부(오른쪽)와 시트리닌 분자의 구조가 꽤
비슷함
을 알 수 있다. 이번 홍국 건강보조식품 사건은 홍국균이 만든 시트리닌과 오염된 푸른곰팡이가 만든 오크라톡신의 시너지 작용으로 신장독성이 커진 게 원인일지도 모른다. 독성학 메커니즘과 방법 제공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연적이고 느슨한 관계 '친구'가 필요한 이유
2023.05.20
쪽이 다른 한쪽에게 일방적으로 퍼주거나 받기만 하는 관계가 아니라 주고 받는 정도가
비슷함
, 상호 존중 - 낮은 지배성: 서로 힘겨루기를 하거나 한 쪽이 다른 한쪽에게 권력적으로 우위에 있지 아니함 - 호감/정서적 친밀성: 서로에게 호감이 있고 친밀함 - 충성도: 어떤 때이든 서로를 믿고 의지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아데노신과 카페인의 두 얼굴
2021.12.28
아데노신(왼쪽)과 카페인의 분자 구조로 아데노신의 염기(아데닌)와 카페인이 꽤
비슷함
을 알 수 있다. 속씨식물 진화과정에서 커피나무와 차나무 등 30여 종이 해충의 신경계를 교란하는 카페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CNS 신경과학& 치료학’ 제공 ○ 커피는 좋지만 카페인은 나쁘다? ... ...
19회 화이자의학상에 성학준 교수·박중원 교수·최동호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9.30
분야 수상자가 됐다. 3년과 4년 무진행 생존율에서도 고주파 열치료와 양성자치료가
비슷함
을 증명했다. 4등급 이상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도 확인했다. 최 교수는 정교한 유전자 교정 기술과 줄기세포 기술을 접목해 유전성 간질환 치료 가능성을 제시해 중개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혁명의 기수, 혁명의 제물이 되다
2020.04.02
방출하는 숯의 연소과정에서 나오는 열량이 기니피그 호흡 때 나오는 열량과
비슷함
을 알아냈다. 이로부터 라부아지에는 호흡이란 반응이 느린 일종의 연소라고 결론지었다. 그렇다면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생체작용도 기본적으로는 열기관과 크게 다르지 않게 된다. '화학 원론'에 실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18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철학의 한 분과였고 실제 두 학문의 연구방법론이 여전히 매우
비슷함
에도 어떻게 남녀 학생의 선호도가 이렇게 다를 수 있는가라는 의문이 들어 그 원인을 추적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이는 천재성은 남자의 특성이고 특정 학문이 천재들의 영역이라는 사람들의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이를 대체하는 용도로 쓰이는 비스페놀S, 비스페놀F 분자의 구조. 기본 골격이 상당히
비슷함
을 알 수 있다. - 가임과 불임 제공 무설탕제품(sugar free)을 표방함에도 여전히 달다면 여기엔 뭔가가 있듯이(과당이나 인공감미료 첨가) 최근 비스페놀A를 쓰지 않았다는 플라스틱이 많이 나오지만 물성이 ... ...
동화의 재구성,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ATU 333/123이다. - 플로스원 제공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 이야기를 보면 구성이 꽤
비슷함
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저자가 분석한 58편은 기존 방식을 따르면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된다. ‘빨간 모자’가 대표하는 ATU 333 유형과 ‘늑대와 새끼 염소(The Wolf and the Kids)’가 대표하는 ATU123유형, ... ...
거품의 물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5.15
막이 터지면서 하나로 합쳐지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한 결과가 실제 실험 결과와 거의
비슷함
을 보여준다. - 사이언스 제공 이처럼 거품의 진화를 3단계로 나눈 건 모든 요소를 한꺼번에 고려할 경우 너무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단계별로 변화를 재현할 수 있는 수식을 만든 뒤 이를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이고 이것을 개선하려고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고실험의 설정을 봐도 뭔가
비슷함
이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이 발견에 대한 자신의 우선권에 꽤 민감했다고 한다. 1907년 독일의 물리학자 요하네스 스타르크가 한 논문에서 E=mc²을 막스 플랑크의 발견이라고 언급하자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