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락
비굴
비겁
열등
인색
치사한 근성
스페셜
"
비열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물질 접촉면의 온도차 전기를 만들다…한국 과학자들 마찰전기 발생 원리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5.26
구성했다. 마찰전기 팩터는 온도차로 유도되는 전압을 의미하는 ‘제벡 계수’와 미도,
비열
, 열전도도 등 물질 특성으로 구성된다. 또 마찰전기로 발생시킬 수 있는 전압 차이의 크기를 예측하는 ‘마찰전기 파워’라는 물리량도 처음으로 제안했다. 연구자마다 다른 결과를 보고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베풀지 못하는 자는 남의 호의를 인식하지 못한다
2020.09.19
세상은 썪었고 자신이 속한 집단들도 전부 부패했으며 주변 사람들도 다 하이에나 같은
비열
한 인간들 밖에 없다고 했다. 서로를 배려할 줄 알고 희생적이고 정의로운 사람들이 많아져야 하는데 어딜가나 그렇지 않은 사람들만 있어서 문제라고 했다. 그러던 그가 돌연 태도를 바꾸게 된 사건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기체화학과 플로기스톤
2020.03.19
되는 데에 필요한 열인 잠열과, 특정양의 물질을 특정 온도로 올리는 데에 필요한 열량인
비열
의 개념을 도입하기도 했다. 블랙의 연구 덕분에 엠페도클레스 이래 단일한 물질로 인식되었던 공기가 사실은 다른 여러 기체(또는 여러 종류의 공기)의 혼합물이라는 단서를 확보하게 되었다. 실제로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
2017.03.12
추구하는 것은 어느정도 이해가 된다고 할지라도 그게 종종 ‘여성’을 향해 가장
비열
한 방식으로 행사되곤 한다는 것이 주목할 점이다. 많은 갑질들이 그러하듯 힘을 가졌다면 ‘이 정도는 할 수 있다’는 사회의 인식이나 문화 역시 책임질 부분이 커 보인다. 남성이 항상 여성 위에 존재해야 ... ...
꿈★은 꼭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2016.03.01
기부나 사람들을 돕는 등의 선행을 할 필요를 덜 느꼈으며 주어진 과제에서 반칙 등의
비열
한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기억을 떠올리든 자신의 객관적인 상태는 변함 없지만, 좋은 일을 했던 기억을 떠올림으로써 자신의 도덕적인 목표는 어느 정도 완수되었다는 느낌을 받는 ... ...
파이(π)와 함께 춤을...
2015.11.23
수학사에 남았다. - 위키피디아 제공 작가가 무얼 근거로 당대 최고 수학자를 이렇게
비열
한 인간으로 그리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존 월리스는 지금도 장수인 87세에 사망할 때까지 정말 다사다난한 삶을 살았던 것 같다. 1616년 잉글랜드 켄트에서 태어난 월리스는 1631년 처음 수학을 접했고 곧 흥미를 ... ...
인간이 만든 가장
비열
한 무기, 지뢰
KISTI
l
2015.09.15
군인과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피해를 주는 바람에 ‘인간이 만든 가장
비열
한 무기’로 불리기도 한다. 지뢰는 정확히 어디에 묻었는지 기록으로 남기지 않으면 추후에 일일이 찾아내 수거하기가 불가능하다. 특히나 탐지가 불가능하도록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만든 지뢰나 탐지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슈뢰딩거를 초빙한 옥스퍼드대의 물리학자 프레더릭 린데만 교수는 내막을 알고 “그
비열
한 놈을 쫓아내야 한다”며 노발대발했다고 한다. 아르투르 역시 루트가 자기 딸이 아님을 알고 있었지만 ‘존경하는’ 노벨상수상자와 아내를 공유하는 현실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지난 2010년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
KOITA
l
2013.12.10
라디에이터로 흘려보내는 것이었다. 한꺼번에 많은 방을 난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열
이 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난방 효율도 공기를 직접 데우는 것보다 높았다. 라이트는 온돌에 라디에이터를 결합했다. 라디에이터로 공기를 데우지 말고 바닥을 데우는 것이 그의 생각의 출발점이었다. 결과는 ... ...
친환경의 키워드, 물과 바람
KOITA
l
2013.08.23
보통 ‘임플루비움(Impluvium)’이라는 사각형 빗물받이 겸 연못을 만들어두는데,
비열
이 큰물이 중원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했다. 고대 로마인들은 침실을 말 그대로 자는 용도로만 활용했고 대부분 시간은 밝게 햇볕이 들어오면서 쾌적한 온도를 유지하는 아트리움에서 보냈다. 또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