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유
비김
풍자
비교
견줌
우언법
반어
스페셜
"
비유
"(으)로 총 18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더위에 입맛이 떨어지는 이유
2024.08.07
있는 띠뇌실막세포는 교세포의 하나로 길쭉하게 생겼다. 띠뇌실막세포 무리의 모습을
비유
하자면 목재(시상하부)에 못을 여러 개 박아놓은 형상이다. 추가 실험 결과 띠뇌실막세포는 온도 정보를 뇌간의 구성원인 뇌교에 있는 부완핵에서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피부 등 몸의 여러 곳에 분포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작용을 한다. 그런데 변이로 망가지면 역시 세포가 통제를 벗어난다. 자동차로
비유
하자면 원종양유전자는 가속페달, 종양억제유전자는 브레이크페달이다. 운전을 하다 발을 떼도 가속페달이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거나 브레이크페달이 안 밟히거나 또는 두 가지 상황이 겹치면 얼마 못 가 사고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세포막에서 만들어진 LPS를 단백질 사다리를 통해 외막으로 운반해 표면에 배치한다.
비유
하자면 세포막과 외막이 각각 1층 침대와 2층 침대이고 둘 사이에 사다리가 놓인 셈이다. 조수라발핀은 LPS를 운반하려고 하는 단백질 사다리에 달라붙어 작동을 멈추게 한다. 그 결과 LPS가 세포막에 쌓이면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어마어마하게 복잡한 구조를 흉내조차 낼 수 없다. 저자는 노트북과 운영체계로 이를
비유
한다. 인공생명체는 새로운 운영체계를 기존 운영체계를 지운 노트북에서 작동한 것일 뿐이다. 새 운영체계를 노트북의 부품들과 같이 둬봐야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처럼 생명의 이해에 큰 진전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피곤하면 왜 몸이 무겁게 느껴질까
2023.09.06
“몸이 무거운데...” 컨디션이 안 좋을 때나 피곤할 때 우리는 종종 이런 말을 한다.
비유
적인 표현 같지만, 실제 이런 상태에서는 가능하면 앉거나 누우려고 한다. 물리학의 관점에서 이런 행동은 들고 있는 짐을 내려놓는 것과 같다. 몸의 무게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연구자들은 피로를 유발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재현‧검증에 뛰어들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우리 과학자를 ‘가두리’에 갇힌 넙치에
비유
해버린 일부 언론의 파행적 보도는 언론의 낯 뜨거운 실수였다. 정부가 섣불리 끼어들지 않았고 초전도저온학회가 끝까지 냉정함을 잃지 않았던 것이 다행이었다. 우리 사회가 SNS를 통해서 전 세계의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비유
전적 메커니즘이 일부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2010년도에 들어서 드디어
비유
전적인 방식으로 형질을 다음 세대 물려줄 수 있는 분자적 증거들이 발표되기 시작했다. 2014년에 국제학술지 '사이언스'(10.1126/science.1255903)에서는 하버드 의대 및 캠브리지대 공동연구진이 생쥐가 세대를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효율은 ‘critical period(결정시기)’라 불리는 특정 시간점 이후로 급격하게 감소한다.
비유
하자면 결정시기 전에는 마치 자동차가 원하는 길을 마음대로 이동할 수 있지만 그 시기 이후에는 일부 길은 통행이 불가능한 커다란 벽에 막혀 갈 수 없게 되어 통행이 가능한 길로만 다닐 수 있게되는 것과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원리나 방식을 이해하려는 것이며 마치 숲을 보기 위해 나무를 하나씩 세어간다고
비유
해도 좋다. 이 방법은 유용하지만 역으로 나무만 세다가 숲을 완성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뇌의 신비를 풀려는 신경과학자들에게는 인간의 뇌가 너무 복잡한 나머지 필수적으로 간단한 문제를 푸는 것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나선을 그리며 일곱 차례에 걸쳐 세포막을 관통하며 박혀있는 단백질이다. 바느질로
비유
하면 천 바깥에서 바늘을 찔러 통과시키고 다시 안에서 밖으로 바늘을 찔러 통과시키는 식으로 일곱 번을 반복해 실이 천에 고정된 셈이다. 지금까지 구조가 밝혀진 GPCR로 알아낸 작동 메커니즘은 이렇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