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경사면
옆
said
side
sided
syed
스페셜
"
사이드
"(으)로 총 4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데 걸림돌 '인 문제' 해결됐나
2025.03.05
뺄 수 없다. 예를 들어 정보를 저장하는 핵산(RNA와 DNA)의 염기(엄밀히는 뉴클레오
사이드
)는 인산다이에스터 결합으로 연결돼 있고 세포막의 주요 성분도 인을 함유한 인지질이다. 또 에너지 분자인 ATP는 아데노신삼인산의 약자다. 인산염 사이의 결합이 끊어질 때 나오는 에너지로 세포는 대사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키고 싶은 자아상 무너질까 두렵다면?
2024.12.21
수 있는 것이 중요한 사람들은 완벽주의에 시달린다. 최근 마이클 하젤훈 미국 리버
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연구자 등에 의하면 '남성적'인 것이 자기 정체성에 매우 중요한 (미국)남성들이 그렇지 않은 남성들에 비해 작은 일에도 타인을 잘 용서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였다고 한다. 이들에 의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렌 버먼, 2024 노벨화학상 숨은 공로자
2024.11.13
실험실에 활기를 부여했다"고 회상했다. 두 사람은 수산화요소와 단당류인 메틸글루코
사이드
의 결정을 만들어 구조를 밝히는 연구를 함께 했다. 김성호는 1966년 박사학위를 받고 그해 겨울 MIT 생물학과에 박사후연구원으로 갔고 버먼은 1967년 학위를 받고 2년 더 머물다가 1969년 폭스체이스암센터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발견했을 때 동일하게 특정 유전자가 높은 수준으로 발현됐다. 흰 날개를 선호하는
사이드
노는 구애 행동을 할 때 이 나비들과 달리 '레구칼신1(regucalcin1)'이란 유전자가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됐다. 연구팀은 "이번에 실험에서 확인된 나비의 유전자는 배우자를 선호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대변으로 배출된다(왼쪽). 반면 아스파탐은 소장을 지나며 분해되고 스테비올 글리코
사이드
는 대장에서 장내미생물 발효로 분해된다(오른쪽). 인공감미료는 입안뿐 아니라 여러 장기에 분포하는 단맛수용체에 달라붙어 예상하지 못한 생리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Frontiers in Nutrition 제공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 '미루기' 만큼 좋지 않은 '서두르기'
2023.03.18
이러한 현상을 미루기의 반대로 서두르기(procrastination)라고 부른다. 캘리포니아 리버
사이드
대학의 심리학자 데이비드 로젠바움(David Rosenbaum)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사람들에게 목적지까지 바구니를 옮겨서 나르게 한다. 이 때 바구니가 놓인 위치에 따라 두 가지 코스를 선택할 수 있었다. A ... ...
[표지로 읽는 과학]대멸종 후 바다는 생물다양성을 어떻게 회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3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스페인 해양과학연구소와 해양학연구소, 미국 리버
사이드
캘리포니아대, 영국 브리스톨대, 호주 시드니대, 독일 알프레드 베게너연구소 연구진은 지구의 해양 생물 다양성이 현재 최고 수준에 도달한 배경엔 다양한 종의 생물이 어울려 사는 ‘생물 다양성 ... ...
과학자들의 우려 현실로…"코로나19 먹는 치료제 내성 변이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6.30
지닌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미국 리버
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리버
사이드
) 아담 고직 생물정보학 교수가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이같은 약물 내성 변이에 감염된 사람들도 확인됐다. 확진자한테 분리한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분석한 데이터가 축적된 국제인플루엔자정보공유기구 ... ...
긴급승인된 먹는 치료제 '라게브리오'는 어떤 약…26일부터 현장 보급
동아사이언스
l
2022.03.23
주요 성분인 몰누피라비르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증식 과정에서 RNA를 닮은 리보뉴클레오
사이드
유사체를 끼어넣어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원리다. MSD가 지난해 11월 미국식품의약국(FDA) 제출한 임상 중간결과에서 중증 입원·사망 예방 효과가 30%로 낮게 나타났다. 그래서 대부분 국가에서는 효과가 8 ... ...
내주 들어오는 화이자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는 어떤 약…MSD는 국내 승인 검토 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1.07
MSD의 몰누피라비르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과정에서 RNA를 닮은 리보뉴클레오
사이드
유사체를 끼어넣어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원리다. 이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임신부가 이 약을 복용할 경우 기형아가 발생하거나, 암을 일으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MSD는 지난해 10월 코로나19 감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