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삽화"(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2024.06.02
- J Choi, Rod J Oskouian, R Shane Tubbs. Telesurgery: Past, Present, and Future. Cureus 10(5):e2716, 2018 쿤트 헤거. 삽화로 보는 수술의 역사. 김정미 옮김. 이룸. 2005 제임스 르 파누, 현대의학의 거의 모든 역사, 강병철 역, 알마. 2016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2024.04.28
- Tale of America's Greatest Medical Discovery and the Haunted Men Who Made It. Harper Perennial. 2002 쿤트 헤거. 삽화로 보는 수술의 역사. 김정미 옮김. 이룸. 2005 예병일. 의학사 노트. 한울엠플러스. 2017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2024.03.31
- Vigo: estimate of his position in the history of surgery. World Journal of Surgery 27(5):616-23, 2003 쿤트 헤거. 삽화로 보는 수술의 역사. 김정미 옮김. 이룸. 2005 아커크네히드. 세계의학의 역사. 허주 역. 민영사. 1993 헨리 지거리스트. 위대한 의사들. 김진언 옮김. 현인. 2014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2024.03.03
- puerperal fever.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Fetal and Neonatal Edition 78:F232–F233, 1998 쿤트 헤거. 삽화로 보는 수술의 역사. 김정미 옮김. 이룸. 2005 헨리 지거리스트. 위대한 의사들. 김진언 옮김. 현인. 2014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2023.12.03
- ※ 참고문헌 Daniel M. Albert.(Editor) The History of Ophthalmology. Wiley-Blackwell. 1996 쿤트 헤거. 삽화로 보는 수술의 역사. 이룸. 김정미 옮김. 2005. Clifford A. Pickover. The Medical Book. Sterling, New York. 2012. Christopher T. Leffler, Andrey Klebanov, Wasim A. Samara, Andrzej Grzybowski. The history of cataract surgery: from couching to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2023.11.19
- 2017;12(4):297-305. 2. Clifford A. Pickover. The Medical Book. Sterling Publishing, New York. 2012 3. 쿤트 헤거. 삽화로 보는 수술의 역사. 김정미 역. 이룸. 2005 4. 대한정위기능신경외과학회. 정위기능신경외과학. 아이비기획. 2017 5. 고대 중국에서 두개골 수술을?. 과학동아 2017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2023.11.05
- 비너스의 유혹-성형수술의 역사. 권복규, 정진영 역 문학과지성사. 2008 4. 쿤트 헤거. 삽화로 보는 수술의 역사. 김정미 역. 이룸. 2005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2023.04.11
- 없었다. 이것으로 잉카문명은 역사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16세기 문헌 플로렌티아의 서 삽화 - 에스파냐의 멕시코 정복 이후 나후아족 사람들에게 천연두가 발병한 것을 묘사하고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 잉카문명 멸망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윌리엄 맥닐은 두창의 유행에 의해 왕이 갑자기 ... ...
- "CEO들, AI가 만병통치약이란 막연한 생각에서 벗어나 목표 분명해야" 동아사이언스 l2020.11.15
- 코미디 장르를 자주 본 사용자에겐 코믹 영화에 자주 출연한 로빈 윌리엄스가 포함된 삽화를 제공하는 식이다. 여기서 활용되는 것은 막대한 분량 사용자의 프로파일이다. 넷플릭스는 계정 1개당 4개 프로파일을 허락하고 있다. 한 사람이 가입하면 네 명까지 서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추천 알고리즘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2020.04.16
- 실렸다는 점이다. 삽화를 그린 사람은 당대의 유명한 화가인 얀 스테벤 판 칼카르이다. 삽화가 굉장히 사실적이고 세밀해서 아마 이런 부류의 책이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꽤나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키지 않았을까 상상해 본다. 의학이 고도로 발달한 지금도 우리는 인체 내부를 묘사한 그림이나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