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지
통찰
비전 꿈
통찰력
스페셜
"
선견지명
"(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지분(6.13%) 가치가 7억5000만 달러가 됐다는 것이다. 1년 7개월 만에 7.5배가 됐으니 대단한
선견지명
이다. 니콜라는 수소트럭과 수소충전소를 만드는 회사로 ‘제2의 테슬라’로 불린다고 한다. 코로나19라는 대형 악재로 유가가 급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테슬라는 연일 최고 주가를 경신하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스트레스를 받으면 열나는 이유
2020.05.05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심인성 발열을 일으키는 뇌 회로 관련 실험을 보니 그의
선견지명
이 더욱 돋보인다. “달아나면 공포가 더 강화되고, 슬픔이나 화의 징후에 굴복하면 그 감정이 더욱 깊어진다는 것을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중략) 만약에 바람직하지 못한 감정적 성향을 극복하길 원한다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영하 20℃에서도 빙판이 미끄러운 현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마이클 패러데이의
선견지명
영국의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는 1850년 빙판이 미끄러운 이유가 얼음 표면에 물층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의 가설은 곧 잊혔지만 100여 년 만에 부활해 압력과 마찰열 가설을 제치고 ... ...
[프리미엄 리포트] 軍은 왜 사흘간 수백명의 과학자들을 불러모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6.29
지혜를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매드 사이언티스트 콘퍼런스’가 미래를 보는
선견지명
의 장이 되어 신개념을 만드는 융합의 아이콘이 되길 바랍니다. 콘퍼런스가 육군을 첨단군으로 바꾸면서 과학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서욱 육군참모총장은 이달 26일 서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레스베라트롤의 파트너로 고른 세 가지 가운데 둘이 세놀리틱이라니 이 회사 연구원의
선견지명
이 대단하다. 다만 둘 다 동물실험에 쓰인 양보다 훨씬 적게 들어있어 이 캡슐을 복용한다고 해서 세놀리틱 효과를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래도 ‘최적화된’이라는 문구에 수긍하고 선선히 주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콜레스테롤보다 심장마비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금 생각해도 놀라운
선견지명
이다. 1964년 유드킨은 흥미로운 설문조사를 했다. 즉 심장질환이 없는 남성 25명, 관상동맥질환 환자 20명, 동맥질환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설탕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설탕을 많이 먹는 사람들이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잘못된 식작용이 노화를 일으킨다고 주장했다. - 아마존 제공 ● 메치니코프의
선견지명
비슷한 시기에 필자는 일리야 메치니코프의 저서 ‘수명 연장’의 영어판(The Prolongation of Life)을 샀다. 봄에 읽은 메치니코프의 전기가 너무 재미있어서 그가 쓴 책을 읽어 보고 싶었다. (메치니코프의 삶과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죽는 건 장내미생물의 조성차이 때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 생각하면 놀라운
선견지명
이다. 이런 와중에 스위스의 연구진이 불가리아의 장수촌에서 많이 먹는 요거트라며 견본을 보내왔다. 이에 흥미를 느낀 메치니코프는 연구자들에게 요거트에 사는 미생물을 규명하게 했고 마침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인한 질병을 고치는데 쓰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언급했다. 지금 생각하면 대단한
선견지명
이다. 1897년 독일의 세균학자인 에밀 반 에르멘겜은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넘(Clostridium botulinum)이라는 세균이 이 독소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보툴리움톡신은 1928년에야 실체가 밝혀졌는데 꽤 덩치가 ... ...
한국도 인공광합성 연구로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8.20
일본도 우리나라한테 자극받아서 관련 연구진이 뭉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선견지명
이 있어서 인공광합성 분야에 5년 이상 투자해 온 덕분에 우리 센터가 전 세계에서 가장 앞서 가고 있다고 말할수 있습니다.” 한국인공광합성연구센터의 센터장을 맡고 있는 서강대 화학과 윤경병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