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역사책"(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2024.02.04
- 무엇일까. 히포크라테스가 살던 시기는 학문적으로 고대 그리스의 황금기였다. 우리가 역사책에서 대할 수 있는 서양학문의 시초를 장식한 사람들이 대거 등장했다. 세상은 물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한 탈레스를 필두로 기원전 7세기부터 4세기까지 엠페도클레스, 데모크리토스, 소크라테스,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2023.04.11
- 것과 무기도 가져가지 않는 등 전쟁에 대한 대비가 너무 없었던 것이 원인이라 했다. 의학역사책에서 흔히 이야기하는 두창의 유행의 중요성을 간과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큰 사건이 일어날 때 어느 것이 더 중요한 원인인지에 대해서는 얼마든지 서로 다른 견해가 있을 수 있다. 강조하고 싶은 점은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은 신학에서 어떻게 독립했을까2022.10.25
- 필요했다. 중세적 사고와 문화가 한 순간에 근대적 사고와 문화로 바뀐 것은 아니다. 역사책이 “중세는 십자군 전쟁에서 패배한 유럽인들이 진리라 생각한 가톨릭을 믿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개하기 이를 데 없는 이슬람인들의 책을 보니 학문 수준이 자신들보다 더 발달했음에 놀라지 않을 수 ... ...
- [인간 행동의 진화] 텃세의 진화2020.11.29
- 터를 잡은 자의 선점권이 다른 종류의 영향력과 충돌할 때 격렬한 점화 반응이 일어났다. 역사책은 그때마다 점점 두꺼워졌다. 텃세가 없는 세상 인간 사회에서는 텃세가 주로 ‘불법적인 세력권 행동’를 지칭한다. 그러나 자연의 세계에는 불법과 위법이 없다. 텃세는 자연스러운 행동 ...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럽 호령하던 바이킹은 갈색머리였다동아사이언스 l2020.09.19
-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빙하 앞에 펼쳐진 거친 파도를 넘는 바이킹 선박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11세기 말 북유럽 근해에서 좌초된 ...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바이킹이 실제로 어떤 이들인지에 대한 인식을 바꿨다”며 “역사책은 새 정보로 갱신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2020.05.14
- 대의 현미경을 직접 만들었다. 그러나 레이후엔훅이 단지 현미경을 잘 만들기만 했다면 역사책에 그 이름이 남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레이후엔훅은 올챙이 꼬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던 중 모세혈관 속을 흐르는 혈액을 확인했고 이 혈액이 다시 심장 쪽으로 흐르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그러니까 ... ...
- [프리미엄 리포트]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2020.05.09
- 다가가고 있다. 그래서 허블우주망원경이 축적한 자료는 우리 우주의 ‘살아있는 역사책’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간 허블우주망원경은 우주에서 희귀한 천체를 찾거나, 초기 우주에 생성된 은하를 포착했다. 이런 결과는 에드윈 허블의 팽창 우주론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됐다. 팽창 우주론은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백해무익한 과학기술 문명 비하론2020.04.15
- 인식은 우리가 애써 가꿔놓은 국립공원에서나 기대할 수 있는 비현실적인 환상이다. 역사책에 남아있는 화려한 기록도 인류의 역사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자연 그대로의 자연은 우리에게 매우 거칠고, 위험한 곳이다. 사자·호랑이와 같은 맹수와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우주 구조 연구의 설계자, 제임스 피블스동아사이언스 l2019.10.09
- 우주론 미래의 패러다임'이라는 콘퍼런스가 그런 사례다. 복도의 한쪽 끝에서 과학 역사책의 한 페이지에서나 볼 수 있었던 아노 앨런 펜지아스를 목격했다. 펜지아스는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 받아 1964년 노벨상을 받았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들이 발견한 것이 허블의 발견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실 문화를 지키는 사람들2019.07.19
- 이런 의미에서다. 물론 지배층의 입장에서 바라본 피지배층의 역사도 기록되어 있다. 역사책은 조선시대 일어난 수 많은 민중 봉기를 난동, 소요, 반란 등으로 기록하고 있다. 민중이 단지 지배층이 통치하는 대상이 아니라 분명히 역사 속에 살아 있었던 주체로 그려지는 유일한 예외는, 그들이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