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담
벽
장벽
장애물
담장
울
칸막이
스페셜
"
울타리
"(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세계 야생생물 보호구역 10곳 중 3곳만 개체수 늘어…관리 소홀로 '유명무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2
알맞게 유지하거나, 외부에서 유입된 식물을 제거하거나, 외부의 포식자를 막기 위해
울타리
를 치는 등의 노력이 포함된다. 개체 수가 감소한 보호구역은 이 같은 활동이 부족했으며, 오히려 강과 호수가 오염되거나 상류의 물을 너무 많이 제거해 문제가 발생한 경우도 있었다. 보호구역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학계를 떠나는 과학자들
2022.04.07
것이 솔직히 두렵다고 밝힌 그의 고백은 갈수록 심각해져 가는 대학연구시스템의
울타리
에서 어쩔 수 없이 살아남아야 하는 과학자들에게 부러움 혹은 두려움을 느끼게 하기 충분하다. 과학자가 학계를 떠나는 것은 구조적인 문제 논문을 출판하지 못하면 퇴출당하는 학계의 문화와 연구비를 ... ...
[프리미엄 리포트] 구조된 야생동물 1만3131마리의 데이터가 말해준 것들
2022.03.19
많은 수의 야생동물을 구할 수 있다는 의미다. 야생동물이 국도를 넘지 못하도록
울타리
를 설치하고, 유리창에 충돌 방지 스티커를 붙이는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02. 야생동물 미아 증가…서식지 위협의 증거 충돌 다음으로 구조 동물 수가 많은 원인은 어미를 잃은 ‘미아’다. ... ...
"구체성과 철학 부족한 인재정책, 과학 근거한 기후·에너지 정책 아쉽다"
2022.03.09
때”라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예산 집행과 인력 수급 자율성이 있어야 연구소가
울타리
를 허물고 융합연구로 나아갈 수 있다”며 “출연연과 공공과학기술 연구개발 분야도 너무 규제 일변도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공운법)을 꼽았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든 생명은 결국 하나라는 믿음
2021.10.23
한 실험에서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 “세상 모든 것들은 어떤 큰 근본적인
울타리
안에서 하나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당신도 이런 생각을 하나요?” 그리고 이와 같은 생각을 얼마나 자주하는지 물었다. 연구진은 이어 “겉모습은 달라도 세상 모든 것은 ... ...
북한도 연구기관 칸막이 문화가 문제…"같은 연구소·대학도
울타리
치고 연구"
2021.09.14
안의 개구리처럼 나 하나, 우리 연구집단의 자그마한 연구성과에 만족하여 ‘본위주의
울타리
’를 치고 있지는 않는가”며 “우리의 경쟁대상은 세계라는 점을 다시금 명심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북한은 해마다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한 과학자와 기술자 등에게 '2·16과학기술상'을 수여하고 ... ...
[한 토막 과학상식]IBS 연구진 최초로 관찰했다는 ‘케이지 형성’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1.12
없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런 유리의 상태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이 마치 케이지(
울타리
)를 친 듯 명확히 구분할 수 있어 이런 케이지 형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이 유리 입자의 독특한 성질 중 하나인 케이지 형성을 최초로 관찰했다고 12일 밝혔다. ... ...
박성동 의장 “위성 연구 더 잘하게 KAIST
울타리
역할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KAIST가 나라에서 연구비를 받는 것이긴 하지만 연구방향이 맞다고 판단이 되면 학교가
울타리
역할을 해주며 연구를 밀어줬으면 어땠을까 아쉬움이 남는다”며 “당시 연구소는 소형위성 부분에 있어 빠른 연구와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상황이었는데 그걸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박 의장은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교신저자인 캐스퍼 반 데르 쿠이(Casper van der Kooi) 박사에게 문의를 했다. 필자 생각에
울타리
콩처럼 양쪽 표피층에 분포할 것 같다고 언급하면서. 현재 스위스 로잔대에 있는 반 데르 쿠이 박사는 바로 답신을 보내왔는데 “시도했지만 실패했다”는 내용을 다소 장황하게 설명했다. 양귀비꽃에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양치기)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맹수류가 감전사하지 않을 정도의 충격을 주는 전기
울타리
등 새로운 기술에도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 또 오래 전 대형 맹수류가 사라져 사람들이 공존의 노하우를 잊어버린 상황에서 서식지 확대나 복원으로 다시 등장할 경우 사회적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