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 변종
품종
스페셜
"
재배종
"(으)로 총 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약 1만 년 전 사람을 만나 오늘의 작물 형태로 서서히 바뀌었을 것이다. 야생 기장은
재배종
의 유전자가 유입되며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중국 북부에 자생하는 야생 기장으로 추정된 식물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작물에 ‘오염’된 상태로 밝혀졌다. 20세기 전반까지만 해도 기장과 특히 ... ...
달콤하고 빨간 현대 수박의 조상은 아프리카 수단 ‘코도판 멜론’
동아사이언스
l
2021.05.26
병충해에 강한 수박 품종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현재
재배종
과 가장 가까운 코도판 멜론에서 저항성 유전자가 확인된 만큼 향후 분자 육종 등을 통해 질병에 강한 수박 품종을 개발할 때 훨씬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적으로 수박 연구는 중국에서 가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multiplex) 게놈편집기술이 작동함을 보였다. 야생종 알타의 작물화 관련 유전자들을
재배종
사티바와 똑같은 유형으로 바꾼다고 해서 성공한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종에 따라 유전자를 바꾸면 예상치 못한 효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번 실험은 인류가 수천 년에 걸쳐 이뤄낸 작물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6세대에서는 1%대(1/64)가 되고 8세대에는 1/256에 불과하다. 원하는 특성만 남은 사실상
재배종
을 얻는 셈이다. 벼의 경우 아열대 지역에서는 이 과정에 3년 정도가 걸린다. 그렇다면 2019년이 아니라 2009년 황금쌀이 보급된다는 뉴스가 나왔어야 하지 않을까. 환경단체의 반대와 정부의 망설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포함돼 있다. 이를 ‘비터 아몬드(bitter almond)’라고 부르는 이유다. 우리가 먹는
재배종
아몬드에는 아미그달린이 거의 들어있지 않고 따라서 ‘스위트 아몬드’라고 부른다. 아몬드는 늦어도 4000년 전 오늘날 이란 지역에서 작물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마도 쓴맛이 나지 않는 아몬드가 열리는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캐나다, 우크라이나의 광대한 들판을 뒤덮고 있는 밀과는 사뭇 달랐다. 그것은 초기
재배종
인 엠머밀(emmer wheat)이었다”라며 “고대 로마인은 이 최초의 밀과 다른 밀을 교배하여 얻은 개량품종을 이집트 전역에 심었다”라고 썼다. 우리가 밀이라고 알고 있는 식물은 이 개량품종으로 보통밀 또는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