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신 이상
광기
정신이상
정신질환
스페셜
"
정신병
"(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제멜바이스는 자신의 주장이 무시당하자 성격도 변해 갔다. 친구들은 1865년에 그를
정신병
환자 수용소로 보냈고 불과 2주일만에 손가락 상처에 의한 봉와직염이 패혈증으로 발전하는 바람에 사망하고 말았다. 한편 1960년부터 글래스고대 외과교수로 일한 영국의 리스터(Joseph Lister 1827~1912)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못한 황색 저널리즘이 엉터리 가짜 과학의 온상이다. 정체불명의 ‘육각수’가 암·치매·
정신병
까지 말끔하게 고쳐준다는 1980년대의 억지가 우리 사회에 등장한 ‘가짜 과학’의 원조(元祖) 격이었다. 국가과학자로 선정된 경력을 가진 원로 화학자가 만들어낸 가짜 과학이었다. 얼음의 결정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
원에 수용된 사연
2023.03.28
중요하지 않은 이유에 의해 무시당하기를 반복한 제멜바이스는 1865년 친구들에 의해
정신병
환자 수용소에 강제 수용되었다. 그리고 2주일이 지난 1865년 8월 13일에 손가락 상처에 의한 봉와직염이 패혈증으로 발전하면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같은 해에 영국에서 무균처리법을 주장한 리스터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까만 양을 색출하자는 진짜 까만 양들의 심리
2021.08.14
날이 오면 지금처럼 차별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우기거나 차별 폐지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정신병
이 있는 거라고 비아냥 거리거나, 우르르 몰려가서 사이버 불링(온라인 괴롭힘)이나 트롤링(익명으로 공개된 상대를 모욕해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을 하는 것으로는 문제를 덮을 수 없다. 차별주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명과 환청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2021.04.06
생쥐에게 환청을 유발할 수 있다면 증상의 변화로 약물 효과를 알아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신병
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자들은 수년 전 사람에게 환청을 유발하는 데 성공했고 그 방법을 생쥐에게도 적용해봤다. 먼저 불빛을 반짝여 테스트에 들어갈 것임을 알린 ... ...
"코로나19 치료 새 후보 약물 3가지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10.19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후보 약물로 ▲항말라리아제 아모디아퀸(amodiaquine) ▲항
정신병
약물 주클로펜틱솔(zuclophentixol) ▲혈압약 네비볼롤(nebivolol)을 찾아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7일 보도했다. 이 3가지 약은 시험관 실험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희망 잃은 삶 구할 한줄기 빛 같은 과학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톤과 음악 선택, 언어 사용, 사진의 감정적 고통 정도를 측정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정신병
을 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자살 예측 모바일 평가(MAPS)’ 연구팀을 출범시켰다. 특히 자살이 늘어나는 10대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청소년이 특정한 수치 이상으로 분석되면 이를 ... ...
정신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유전의 산물 혹은 양육의 결과라며 간단하게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는 ‘
정신병
은 귀신에 씌어서 생기는 것’이라는 주장만큼이나 과학적 근거가 빈약하다. ‘사실 잘 모른다’라는 답이, 비록 시원찮지만, 아직까지는 정답이다. 박한선 정신과 전문의 성안드레아병원 정신과장,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살다간 석유갑부 ‘모리스 스트롱’
2016.01.10
보냈다. 아버지는 폐인이 되다시피 했고 어머니는 극도의 빈곤으로
정신병
에 걸려
정신병
원에서 죽었다. 스트롱은 2000년 출간한 자서전 ‘Where on Earth Are We Going?(도대체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나?)’에서 어린 시절 풀과 민들레를 먹으며 굶주린 배를 채웠다고 썼다. 열네 살에 고등학교를 중퇴한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정신불열증이 유전적 소양이 크다는 건 일란성쌍둥이 연구 등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
정신병
유전자’를 찾는 연구는 오래 동안 금기시돼 있었다. 1970년대에는 정신질환의 생물학적 원인을 거부하는 반정신질환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즉 환경이 나빠 정신에 병이 왔을 뿐이라는 주장이다.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