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식인
인텔리
스페셜
"
지자
"(으)로 총 10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빛바랜 '스승의 날'의 우울한 풍경
2025.05.21
민주주의의 꽃이라는 이유로 시작된 지방자치도 교실 붕괴를 가속하는 요인이었다. 광역
지자
체의 교육을 틀어쥔 교육감들이 경쟁적으로 어설픈 '학생인권조례'를 만들기 시작했다. 교사의 교권이 학생의 인권에 속절없이 밀려나기 시작했다. 교사의 정당한 교육 활동이 학생의 인권을 무시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공염불 된 교육부의 대학규제 철폐
2024.05.08
못한
지자
체의 입장이 난처하다. 교육부가 연구재단에 설치한 '중앙라이즈센터'와
지자
체가 운영하는 '지역라이즈센터'에 대한 기대도 공허한 것일 수 있다. 지역대학에게 중앙라이즈센터는 교육부에서 자취를 감춘 고등교육정책실의 부활일 뿐이다. 라이즈의 부작용은 생각보다 훨씬 심각할 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를 절단하는 수술에서 에테르의 효과를 재검증할 수 있었다. 영국에 이 소식이 전해
지자
인류역사상 가장 수술을 잘 한 의사중 한 명으로 여겨지는 은퇴를 앞둔 리스턴(Robert Liston)이 에테르 마취 후 다리 절단 수술을 시행한 것이 유럽 최초의 무통수술이다. 리스턴은 '앞으로 마취제가 수술을 쉽게 ... ...
[사이언스게시판] 안지환 지질자원연 연구원, 여성 최초 한국에너지학회장 취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최초 한국에너지학회장에 취임한 안지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지자
연 제공 ■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안지환 광물자원연구본부 자원회수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 제28대 한국에너지학회장으로 취임했다고 16일 밝혔다. 임기는 1년이다. 안 책임연구원은 한국에너지학회에서 여성 ... ...
[사이언스게시판]
지자
연, 5만 년 전 흔적 ‘합천 운석충돌구’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3D입체모형으로 관찰할 수 있는 전시 구역도 마련됐다. 이번 합천 운석충돌구 특별전은
지자
연 네이버 지구iN블로그와 두드림 유튜브채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양대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개원식을 21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서울대(11월14일), KAIST(11월28일)에 이어 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클로로포름이 마취제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수술이 한결 쉬워졌다. 수술 빈도가 많아
지자
낫는 병도 많아졌지만 수술후 합병증에 의해 사망하는 이들이 많아진 게 문제였다. 또 아기를 낳은 산모가 분만 후 후유증으로 사망하는 일도 흔히 있는 일이었다. 초기 소독법의 초기 선구자 이그나츠 ... ...
[과학게시판] 국내 첫 여성 원자력공인검사원 탄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18
재평가를 실시하고 선광·제련 신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에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지자
연이 원천 기술을 보유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분야의 협력연구도 제안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개의 머리를 다른 개에 이식하다
2023.04.25
선구자 1997년 2월 복제양 돌리가 태어나서 7개월째 잘 자라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
지자
많은 사람들이 충격에 휩싸였다. 복제에 의해 동물이 태어난다면 사람도 복제가 가능할 것이고, 복제된 사람들이 내 주변에 돌아다닐 수 있다는 사실은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복제’라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
2023.03.28
수시로 생명을 위협하던 두창(천연두)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는 소식이 전해
지자
영국의 주류의사라 할 수 있는 런던의 의사들은 선뜻 이를 받아들이지 못했다. '제너처럼 평범한 의사가 어떻게 이런 위대한 발견을 할 수 있지?' 상대성원리를 발견하여 당대 최고의 위치에 오른 ... ...
과기정통부는 왜 해외도, 대통령도 주목한 첫 소행성 탐사를 외면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5.03
않았다. 이는 지난해 한미미사일지침 종료 등 고체발사체를 개발할 환경이 갖춰
지자
빠르게 우주개발계획을 수정한 것과 비교된다. 국가우주위는 지난해 6월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고체발사체 개발 등을 추가하는 수정안을 심의 확정한 것이다. 반면 소행성 탐사선 발사 시점은 2035년으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