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관력
직관
스페셜
"
직각
"(으)로 총 9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코로나19 공기감염 가능성 첫 실험증거 나왔다
2020.11.02
9 전파가 입자가 큰 비말을 통해서만 감염이 가능하다면 강철로 된 그물망이나 90도
직각
으로 꺾인 파이프 구조, 아래 위 페렛 사이의 1m 거리, 중력 등이 모두 작용되는 실험 환경에서는 상단 케이지의 건강한 족제비가 바이러스에 감염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가정했다. 큰 비말이 이같은 실험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궤적은
직각
삼각형이 된다. 투사체의 대표적인 사례가 포탄이다. 포탄의 궤적이
직각
삼각형인지 포물선인지는 군사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두 과학》은 이탈리아에서 출판되지 못하고 네덜란드의 레이덴에서 1638년 출판됐다. 또한 토스카나 대공에게 헌정되지 못하고 로마주재 프랑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구성하는
직각
삼각형의 모든 각도가 결정되는 셈이다. 즉, 지구-달-태양이 구성하는
직각
삼각형의 실제 크기는 모르지만 그와 닮음인 삼각형은 구한 셈이다. 이로부터 지구-태양의 거리가 지구-달 거리의 몇 배인지를 구할 수 있다. 아리스타르코스는 이런 방법으로 지구-태양의 거리가 지구-달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떨어지는 본성적인 운동을 한다. 이 모든 궤적을 그림으로 그리면 포탄은 전체적으로
직각
삼각형의 모양을 따라 운동한다. 이는 우리의 경험과 잘 맞지 않는다. 포탄의 궤적을 정확하게 아는 것은 전쟁을 치를 때 아주 중요하다. 실제 포탄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고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
KISTI
l
2015.02.16
멈추기도 한다. 중력은 물체를 지구 중심으로 끌어당긴다. 평평한 곳에서는 운동 방향과
직각
이 되기 때문에 쉽게 움직일 수 없지만 경사가 심할수록 중력의 작용이 운동 방향에 가까워져 이동이 쉬워진다. 산이 높은 교외에 스키장이 위치한 이유다. 마찰력을 줄이는 것도 플레이트를 미끌어지게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말하지 않을 수 없는 것들이 꽤 된다는 사실이 신비롭기만 한다. 변의 비가 3:4:5인 황금비
직각
삼각형도 그런 예다. 서로 나란한 정수 세 개가 이처럼 절묘한 상관관계를 보이다니 생각할수록 이상하다. 지난해 12월 4일자 학술지 ‘플로스 원’에는 2500여 년 전 발견돼 지금은 초등학생들도 배우는 ... ...
[MATH] 피라미드에 얽힌 이집트의 수학이야기! 작도와 왕도
KISTI
l
2014.12.29
거의 무시해도 좋을 정도의 오차로 네 각이 모두 90°다. 고대 이집트인은 작도로
직각
삼각형만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작도로 동, 서, 남, 북의 네 방향을 정확하게 알아내기도 했다. 그들은 해가 뜨는 쪽과 지는 쪽을 각각 동쪽과 서쪽으로 정했고, 두 지점을 직선으로 이은 후 그 직선의 수직선을 ... ...
[MATH] 트로이 전쟁과 원주율
KISTI
l
2014.03.19
둘레의 길이를 구하기 위하여 EF의 길이를 구하면 된다. 그런데 △OEF는 OE = OF = 1인
직각
이등변 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EF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EF = √1²+1² = √2 그러므로 내접하는 정사각형인 □EFGH의 둘레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EFGH의 둘레의 길이) = √2 X 4 ≈ ... ...
손목에 이어 무릎까지? 직장인은 아프다
KISTI
l
2013.08.13
반면 여성은 골반이 커 무릎으로 이어지는 뼈가 직선보다 사선에 가까워 전체적으로
직각
삼각형 모양이다. 때문에 꼭짓점인 슬개골에 가해지는 힘이 남성보다 크다. 슬개대퇴증후군은 ‘러너즈 니(Runner`s knee)’라고도 불린다. 주로 달리기 초보자들이 무리하게 장거리를 달릴 때 생긴다.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