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책임
임무
의무
스페셜
"
책무
"(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대 편입 확대는 이공계 죽이기…화해·공존의 길 찾아야
2025.03.26
것도 심각한 문제다. 대부분 의대 부속으로 운영되는 상급종합병원의 일차적인 사회적
책무
는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면허를 받은 '일반의'를 고강도의 수련을 통해 '전문의'로 길러내는 것이다. 그런 상급종합병원에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한 PA(진료지원) 간호사를 투입해서 무늬만 '전문의 중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핵에 길 잃은 과학기술·교육·의료개혁
2024.12.18
사실이다. 그러나 의대 증원으로 초래될 훨씬 더 심각한 재앙을 막아내야 하는 막중한
책무
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 한 번도 경험해 본 적이 없는 심각한 '위기'가 시작되고 있다. '위기는 기회'라는 낙관은 경계해야 한다. 그러나 위기가 개인·조직·국가의 생존을 위협하는 재앙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깊은 불황 늪에 빠진 석유화학 산업
2024.12.11
아니다. 산업현장에 대한 합리적인 안전 규제는 반드시 필요한 현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책무
라는 사실은 아무도 거부하지 않는다. 석유화학 산업은 우리가 절대 포기할 수 없는 핵심 기간 산업이다. 특히 원유를 정제하는 정유산업의 경우가 그렇다. 싱가포르 석유 시장과 연동되어 있는 기름값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윤석열 세대' 의대 2025학번의 암울한 미래
2024.09.11
대안'을 요구하는 것은 후안무치한 일이다. 정책을 만드는 일은 정부 관료의 가장 막중한
책무
다. 자신들이 해야 할 일을 의사에게 떠넘겨서는 안 된다. 더욱이 의대 정원을 결정해 주는 '과학법칙'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참석자도 공개하지 못하고 의사록도 찾을 수 없는 '37차례 협의'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연금개혁·의대증원 '과학적 근거'에서 '과학'은 어디?
2024.04.24
도 과학적 대안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 보호라는 국가의 헌법적
책무
를 이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수적 조치”라던 정부가 이주호 교육부 장관의 은밀한 꼼수로 알려진 '자율 조정'을 전광석화처럼 수용해 버렸다. 2000명이 '최소한의 필수적 조치'가 아니라는 사실을 스스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가려낼 능력이 없다는 변명은 부끄러운 것이다. 과학기술 시대의 언론인에게 요구되는
책무
는 절대 가벼운 것이 아니다. 언론이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우리 사회를 바로 잡겠다는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구감소·의대쏠림·대학해체의 삼각파도에 휩쓸리는 대학
2023.06.07
것은 없다고 알고 있다’는 것이 서울대 관계자의 발언에서는 선도대학에 대한 사회적
책무
에 대한 인식은 도무지 찾아볼 수가 없다. 서울대만 입학정원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SKY)의 298명을 비롯한 수도권 상위권 대학의 정원이 817명이나 늘어난다. 수도권의 입학정원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 개혁'
2023.01.04
대한 합리적인 대안도 마련해야 한다. 대학에게 ‘자율’과 함께 무거운 ‘사회적
책무
’를 떠맡기는 길을 찾아야 한다. 남아돌게 될 대학의 자원을 사회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대안도 찾아내야 한다. 학생의 학습권과 교사의 교권을 함께 지켜줄 수 있는 공교육 현장을 만들어내는 일이 ... ...
[논문감시] 국내 연구자 논문, 데이터 조작 이유로 철회 1년 걸린 사연은
동아사이언스
l
2022.09.01
없이 논문의 유효성을 평가하게 되면 철회를 더욱 빨리 진행할 수 있다”며 소속기관의
책무
를 다하길 요구했다. 일각에선 학술지 출판 전 교신저자나 논문 출판 리뷰어의 역할에 대한 비판도 제기한다. 연구의 책임을 지는 교신저자가 연구를 꼼꼼히 살펴 데이터 조작을 미리 찾아냈거나 논문 ... ...
[탄소중립 연속기고] 도시폐기물,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되살아날까
2022.04.21
한다. 기업은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 사회 및 지배구조를 고려하는 ESG(환경·사회적
책무
·기업지배구조 개선) 투자를 통해 재무적 요소에 직접 반영되지 않더라도 기업의 사회 평판도 향상이 궁극적인 생존전략이 될 수 있다는 점도 반드시 인지해야 한다. 2020년에 발표된 국가온실가스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