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라 낮기
움푹한 곳
가라앉음
침하
스페셜
"
함몰
"(으)로 총 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쇄빙선 아라온호가 포착한 통가 화산 폭발 후 3D 지형도…화산 형태 그대로 남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5.25
구멍이 만들어지면서 150m였던 중앙 수심은 820m까지 내려갔다. 그러나 폭발로 중앙부가
함몰
되면서 만들어진 칼데라 둘레 벽들은 무너지지 않고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칼데라는 화산폭발 후 마그마방이 비어 화산이 무너지며 생기는 분지 구조다. 이는 강력한 폭발로 기존 형체를 알아보기 ... ...
[기고]국회에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회 설치를 건의한다
2021.12.15
출연연의 정체성이 법제화되어야 한다. 또한 과학기술혁신이 경제 또는 정치 논리에
함몰
되지 않기 위해서 '과학기술기본법', '공공기관 운영법', '과기출연기관법' 등 관련 법령의 정비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 과학기술혁신을 저해하고 있는 양대 요소 즉, 공공 연구개발 부문에 대한 ... ...
[지구는 살아있다] 운봉산 돌무더기는 '빙하기의 증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5.22
부딪혀 깨졌을 테니까요. 움푹 꺼진 암괴류는 빙하기 때 두껍게 얼었던 얼음이 녹아
함몰
되어 만들어진다. 이광춘 제공 운봉산의 암석 빙하는 한때 이곳의 기후가 매우 추웠다는 증거입니다. 암석 빙하가 존재하려면 일 년 내내 암괴류 아래에 얼음이 얼어있어야 하거든요. 현재 우리나라의 ... ...
토성 위성 '타이탄' 극지
함몰
지형 "폭발성 분화 증거"
연합뉴스
l
2020.06.17
of Geophysical Research)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타이탄의 북극 주변에 산재한 작은
함몰
지형 중 일부는 주변보다 벽이 높거나 큰 침강 안에 작은 침강이 존재하는 등 형태적 특징이 붕괴한 화산 분화구를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지형적 특징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토성 탐사선 ... ...
[지뇽뇽의 사회심리]당신은 꼰대입니까?
2017.11.17
판단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경험이 많다고 자부하지만 그로 인해 되려 자신의 세계 안에
함몰
되어 버릴 수도 있다는 점, 따라서 전혀 유용하지 않은 조언을 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보자. GIB 제공 ● “내가 주는 도움 고맙게 받아라” 당신은 누군가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거나 조언을 줄 때 ... ...
[표지로읽는과학] 뜨거운 곳 좋아하는 박테리아, 열적응 메커니즘 밝혀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1.22
그랜드 프리즈매틱 스프링은 약 60만 년 전 대량의 마그마가 갑자기 분출하면서 지각이
함몰
되며 생긴 거대한 칼데라호입니다. 이곳은 옐로스톤에서는 물론 미국에서도 가장 큰 온천입니다. 지름만 해도 약 110m(≒370피트)에 달하고, 가장 깊은 곳의 깊이는 약 50m(≒160피트)나 되니까요. 거기에 7 ... ...
‘이 또한 지나가리’ 스트레스 이기는데 효과적일까
2016.08.23
정서적 충격에서도 다소 벗어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좀 더 넓게는 자신의 문제에
함몰
되어 있던 시선에서 벗어나 ‘인류’ 전체나 ‘지구적’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다든가 하는 시도들도 효과적이라고 한다. 길고 긴 장애물 달리기 같은 삶에서 이런 대처법들이 장애물들을 객관적으로 ... ...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분리해요. 이걸 지방세포로 다시 분화시키면 순도높은 어린 지방세포를 얻을 수 있지요.
함몰
된 부위에 이식하면 3개월 뒤부터 상처가 회복되기 시작해요.” 지방을 직접 이식하는 것보다 줄기세포에서 나온 어린 지방세포를 이용하면 생착율도 높고 회복 상태도 양호했다. 현재 자신의 지방을 ... ...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5.06
분리해요. 이걸 지방세포로 다시 분화시키면 순도높은 어린 지방세포를 얻을 수 있지요.
함몰
된 부위에 이식하면 3개월 뒤부터 상처가 회복되기 시작해요.” 지방을 직접 이식하는 것보다 줄기세포에서 나온 어린 지방세포를 이용하면 생착율도 높고 회복 상태도 양호했다. 현재 자신의 지방을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