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썰물
뉴스
드론으로 갯지렁이 수 확인…세계적 가치 한국 갯벌 연구 새 시대
과학동아
l
2025.06.14
같은 동물도 있다. 이들이 파는 서식굴은 생존에 필수적이다. "바닷물이 빠지는
간조
때에도 서식굴에는 바닷물이 남아있습니다. 저서생물들은 서식굴 안에서 몸의 건조를 막고 포식자의 침입을 피할 수 있어요." 구 책임연구원의 설명이다. 그러나 서식굴이 아닌 갯벌 생물의 실제 모습을 보기란 ... ...
백령도에서 야생 점박이물범과 눈 맞췄다…"숨쉬기도 조심스러워"
과학동아
l
2025.05.24
말했다. 물범을 보려면 물때(
간조
와 만조 시간)를 파악해야 한다. 바닷물이 빠지는
간조
시간이면 주변 바다에서 노닐던 물범이 바위 위에 올라앉아 쉽게 눈에 띄기 때문이다. 4월 1일 백령도의 '물때'는 오후 2시 30분경. 다행히 시간을 잘 맞췄다. 해변에서 물범 바위까지 족히 수백 미터는 돼 보였다 ... ...
목포 홍수·사라지는 백사장…해수면 상승 위협 현실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9.16
가장 높아졌을 때를 만조, 반대로 해수면이 가장 낮을 때를
간조
라고 합니다. 또 만조와
간조
시의 수위 차이를 조차라고 합니다. 목포가 물에 잠긴 이유. 한국농어촌공사 제공 목포에는 영산강하굿둑이 있습니다. 하굿둑은 강의 입구에 설치돼 바닷물이 강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 ...
알코올성 간질환 표적 치료 열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03
미토콘드리아로의 칼슘 이동을 가속한다는 것이 확인됐다.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간조
직 분석에서도 이러한 결과가 확인됐다. 쥐 실험에서도 PDK4가 증가하면 간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관련 내막체 칼슘이 전달되는 경로에서 복합체 형성이 증가하고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를 촉진한다는 것이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해바라기 꽃가루' 이용해 3D프린터로 의료 소재 찍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9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제프리 글렌 미국 스탠포드대 간염및
간조
직공학센터 소장은 “이번 연구결과가환경 친화적이고 저렴하며 독성이 없는 재료로약물 전달을 위한 맞춤형 구조체를 3D프린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조남준∙송주하 싱가포르 ... ...
바다 밑 온실가스 메탄, 썰물 때 대기 중으로 빠져나간다
2020.12.15
방출량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12시간마다 돌아오는 물이 가장 많이 빠지는
간조
때 압력이 낮아지면서 메탄 방출량이 늘어났다. 압력이 낮아져 고체 형태이던 메탄이 기체로 바뀌고 바닷물에 녹아들었다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이다. 플라사-파베롤라 연구원은 “북극해의 가스 배출량이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②] 바다로부터 얻는 청정에너지, 조력․조류와 파력
동아사이언스
l
2014.07.28
남해안은 굴곡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크고 작은 만이 발달해 있고 조위차(연속적인
간조
와 만조의 차)가 커서 세계적인 조력·조류발전 적지이다. 조력발전 주요 후보지로는 강화만, 인천만, 가로림만 및 시화호 등이 있으며 조류발전 적지로는 울돌목, 장죽수도, 맹골수도 등이 있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바닷속 보물을 찾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발굴 조사는 조간대에서 진행됐어요. 조간대는 만조 때는 바닷물에 잠겨 있다가,
간조
때는 물이 빠져나가 땅이 드러나는 곳입니다. 해남선이 발견된 해남 송지면 송호리 조간대는 땅이 드러나는 시간이 하루에 1시간, 한 달에 4~5일뿐이었어요. 그래서 밀물로 물이 차오르면 잠수복을 입고 수중 ... ...
물에 잠긴 목포 그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7호
가장 높아졌을 때를 만조, 반대로 해수면이 가장 낮을 때를
간조
라고 합니다. 또 만조와
간조
시의 수위 차이를 조차라고 해요. 목포에는 영산강하굿둑이 있습니다. 하굿둑은 강의 입구에 설치돼 바닷물이 강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만조 때는 둑 바깥쪽에 바닷물이 ... ...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때문에 울릉도에서 충분히 독도를 볼 수 있습니다. 정 교수는 “빛 반사로 인한 오차,
간조
와 만조 시기의 울릉도와 독도의 높이 변화, 그리고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갈수록 두 섬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들까지 계산하면 울릉도의 해발 88m부터 독도가 보이기 시작해 524m에 오르면 독도 전부를 볼 수 ... ...
[특집]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내가 사는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는 사실 알고 있니? 이곳엔 많은 해양 생물 친구들이 살고 있고, 지구의 과거 비밀을 캐낼 단서도 들 ... 가스하이드레이트 : 해저에서 저온, 높은 압력에 의해 만들어진 연료 자원.● 조간대 :
간조
때 드러나고, 만조 때 잠기는 연안 지역. 개펄이라 불린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대만 여행 노트 제 2편_welcome to Liouciou island
기사
l
20190218
조금씩 맞아가며 구워먹은 저녁은 진짜 맛있었다. 대부분 저녁식사가 하루의 마지막이겠지만 우린 아니다. 바닷물이 조금씩 빠지는
간조
시간에 맞춰 바닷가로 나갔다. 원래 생각했던 바닷가는 모래사장이 있고 파도가 잔잔히 치는 그런 곳이었지만 도착지는 정반대였다. 바다생물을 보기 위해 우린 절벽을 내려갔다. 절벽을 내려가자마자 해삼이 우리를 반겨주었다. ...
갯골에 사는 친구들 갯골..ㅎ
기사
l
20150724
쇠백로.청다리도요.깝짝도요.괭이갈매기.저어새 등 많은 자원 생물이있다 또하나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이유는???? 바로 만조 와
간조
때문이다 이유는....1.달에 가까운 쪽은 달의 중력에 이끌려 바닷물이솟아오른다2.달에서 먼 쪽 바닷물은 제자리에 있으려는 관성이 크고.지구는달울 향햐 끌려간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먼 쪽바닷물이 부풀어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