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 [사이언스게시판] 제25회 아시아물리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8명 전원 메달 획득 外동아사이언스 l2025.05.16
- ), 최정민(경기과학고3) 학생이 금메달을, 이권헌, 이신혁(서울과학고2), 채우현(경기과학고3) 학생이 은메달을 받았다. 금메달을 받은 이혁준 학생은 실험 시험에서 높은 성적을 받아 대회 참가자 중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19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돈먹는 하마' AI 디지털 교과서2025.05.07
- 뜻이다. 심지어 교육감까지 나서서 반발하는 교육청도 있다. 4월 29일에는 서울·인천·경기의 교육감들이 AIDT의 추가 개발을 반대한다는 의견을 밝히고 교육청에 떠넘겨진 AIDT의 구독료 문제에 대해서도 공동 대응하겠다고 합의했다. 그런데도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세계 최초'의 AIDT에 대한 미련을 ... ...
- [사이언스게시판] 우주항공산업발전포럼, '국방우주 강국 건설을 위한 정책 세미나’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5.04.24
- '인문사회, 위기시대의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전국 5대 권역(강원, 전라, 충청, 경상, 서울경기)의 인문사회 연구소들이 공동으로 참여한 학술컨퍼런스의 성과를 공유한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개관 80주년을 기념해 팝업 전시 '석주명의 나비효과-과학의 날갯짓'을 25일부터 6월 8일까지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다시 미세먼지의 공습…중국발·국내발 혼란2025.03.12
- 미세먼지가 농도가 나쁨 수준을 보인 11일 오전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 서문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가 뿌옇다.연합뉴스 제공 혹독했던 코로나19 팬데믹 덕분에 까맣게 잊고 지냈던 미세먼지의 공습이 다시 시작되고 있다. 3월 10일부터 이틀째 수도권의 대기가 미세먼지로 가득 채워져 버렸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전기가 집으로 오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원자력 발전으로 전기를 만들어내죠. 그런데 정작 전기를 많이 쓰는 지역은 서울, 인천,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으로, 수도권에서 쓰는 전기의 33%는 지방에서 공급받고 있어요. 특히 서울은 지역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9%만 직접 생산하고, 나머지 91%는 다른 지역에서 만들어진 전기를 쓰고 ... ...
- [가상 인터뷰]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나무, 나이 최초 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나이가 처음으로 밝혀졌어. 어떻게 알아낸 걸까? 안녕! 자기 소개 부탁해.반가워. 난 경기도 양평군의 용문사라는 절에 있는 은행나무야. 우리나라에서 가장 키가 큰 나무지. 용문사 은행나무가 가장 크다는 사실은 그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졌지만 정확한 높이와 부피, 그리고 나이는 밝혀지지 ... ...
- [천문학자] 물체를 바라보는 각도의 중요성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건물로 꼽힙니다. 워낙 우뚝 솟아 있다 보니, 30km 정도 떨어진 경기도 수원에서도 날씨만 좋으면 롯데월드타워가 보이는 것이죠. 롯데월드타워가 멀리 떨어진 수원에서 보인다는 것도 신기한데, 계속 운전하다 보면 점차 이상한 기분이 들기 시작합니다. 고속도로 양쪽 ... ...
- [특집] 집비둘기, 왜 많아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수가 급격히 줄어 2017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됐습니다. 지금은 전남 구례군, 경기 연천군 등 4곳에서 200여 마리만 살고 있어요. 낭비둘기의 개체 수가 줄어든 이유 중 하나는 집비둘기와의 잡종화로 추정됩니다. 가까운 도시의 집비둘기가 낭비둘기의 서식지로 터전을 옮겨 낭비둘기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