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5대 성인들의 유품에서 DNA를 추출하여 예수, 석가모니, 소크라테스, 마호메트, 공자의 뇌를 재구성하였습니다. 거기다 그들이 남긴 정보들을 학습시켜, 본래 수준에 가장 근접한 상태의 뇌를 만들었죠. 이 다섯 뇌는 그대로 유기 용액에 담겨 우주로 보내졌습니다. 일명 ‘수행자’ 프로젝트로 인간에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조선의 수학은 내게 맡겨라!” 조선시대 홍정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산원이 되었지요. Q 멋져요! 수학자로서 큰 존경을 받으셨겠어요! 안타깝게도 그때는 공자의 가르침을 배우는 ‘유학’만 중요하게 생각하던 시기였어요. 조선의 관리는 1품부터 9품까지 등급이 나뉘는데, 산원은 가장 낮은 9품으로 시작해 6품까지만 오를 수 있었지요. 하지만 나중에는 수학이 점점 ...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논어’에서 공자는 ‘후생가외(後生可畏)’라는 말을 남겼다. ‘뒤에 난 사람은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나이가 젊고 의지가 강한 후배가 학문을 계속 쌓고 덕을 닦으면, 그 진보가 선배를 능가하는 경지에 이를 것이라는 의미다.인공지능(AI)의 목표는 사람처럼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 ...
- [이투스교육] 정의와 불평등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처벌 등에 있어서 ‘마땅히 받을 만한 몫을 공정하게 받는 것’을 말한다. 정의를 두고 공자는 ‘천하의 바른 정도를 아는 것’, 플라톤은 ‘국가가 지녀야 할 가장 필수적인 덕목’, 아리스토텔레스는 ‘같은 것은 같게, 다른 것은 다르게 대우하는 것이며, 각자에게 각자의 몫을 주는 것’이라고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