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우리나라에서만 숟가락을 쓰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있는 지구, 화성 등 다양한 행성들은 이름도, 특성도 제각각이에요. 그런데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모두 모양이 둥글다는 거죠. 질량을 가진 물질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 중력 때문이에요. 행성의 모양에 중력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영상으로 만나 봐요! 말랑말랑한 점토인 플레이도우로 ... ...
- [생물발광] 자연에서 찾은 해결책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해요. 발광하는 생물은 현재까지 알려진 것만 1500종에 달해요. 발광 생물 체내에는 공통적으로 루시페린이라는 분자가 있습니다. 루시페린은 루시페라아제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산소와 반응하는데, 이 과정에서 반응하고 남은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며 발광 생물이 빛을 낼 수 있습니다. 육상동물 ...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개념을 발견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광택, 높은 전기 및 열전도성 등과 같은 금속의 공통 성질에 주목했던 플로지스톤 체계와 달리, 라부아지에게 중요한 문제는 반응 전후의 질량 보존을 보여주는 것뿐이었다. 플로지스톤 이론이 멸종된 이후, 에너지나 전자 개념이 등장하기까지 약 100년을 더 ...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것입니다. 외계지성체는 생물학적 특징, 사고방식, 문화, 언어 등 모든 면에서 인류와 공통점이 전혀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럼에도 138억 년이란 우주의 광대한 시간에 비하면 결국 아주 짧은 시간만 사는 유한한 존재라는 사실만큼은 우리와 같을 수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궁극적 목표는 바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