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뉴스
시끄러운 환경서 듣는 능력, IQ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소음을 차단해야 하며 낱말을
구별
하는 최소 단위인 음소를 부호화해 음절과 단어를
구별
해야 한다“며 ”웃거나 고개를 끄덕이는 등 의미론적, 사회적 신호도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적 능력이 떨어지면 시끄러운 환경에서 의사소통과 관련한 인지 능력이 부하가 걸릴 수 ... ...
현미경으로 확인 어려운 '미토콘드리아 정밀 구조'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공간에 있는 단백질을 정밀하게 구분하는 새로운 분석 기술을 개발했다. 현미경으로도
구별
하기 힘든 미토콘드리아 내부 구조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미토콘드리아의 구조 및 기능에 이상이 생겼을 때 일어나는 분자 메커니즘의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이현우 ... ...
바늘 찌르는 불편 없앤다…빛과 초음파로 갑상선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바늘을 이용해 조직을 채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초음파만으로는 양성과 악성을
구별
하기 어려워 암이 아닐 때도 조직검사를 받는 경우가 많다. 김철홍 교수 연구팀은 포스텍-가톨릭대 의생명공학연구원(포가연구원)의 지원으로 ‘광초음파 영상(PAI)’ 기술을 개발했다. 악성 결절은 대사 ... ...
노벨상 수상 '클릭화학'으로 수천만개 중 '딱맞는 약물'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9.18
억제하는 후보 물질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PTP1B는 구조가 유사한 다른 단백질과
구별
하기 어려워 그동안 선택적으로 억제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이번 기술로 정상 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PTP1B가 과다한 암세포에서만 강력한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후보 물질을 확인했다. 논문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과기원NOW] KAIST, "세계 최초‘빛편광
구별
카이랄’소재로 양자광학 혁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28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기술은 복잡한 장치 없이 빛의 방향성 정보를 정밀하게
구별
할 수 있어 양자 반도체, 스핀 광소자, 라이다(LiDAR), 바이오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기상청이 주관하는 기후변화 대응 혁신기술 개발 연구과제를 수주하여 총 385억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질병, 병원, 의사, 의학 뒤집어 보기
2024.10.27
이들 모두를 질병이라 하기는 어렵고 아니라고 하기도 어려우니 질병과 건강한 상태를
구별
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 변화하고 있는 병원과 의사의 역할 요즘은 과거보다 중고생들에게 진로지도를 하는 시간이 늘어난 듯하다. 필자의 경우에도 특별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의료계에 관심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한 뉴턴(Isaac Newton)은 빛이 무지개색으로 구분됨을 알아냈다. 동물 대부분이 빨간색을
구별
하지 못하는 것은 동물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빛의 파장이 사람이 볼 수 있는 파장의 범위보다 작기 때문이다. 19세기 말 라디오 제작에 이용되는 진공관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던 학자들은 빛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내용중 어떤 부분이 그가 쓴 것이고 어떤 부분이 다른 학자들에 의해 씌어진 것인지
구별
하기는 어렵다. 고대 그리스에서 스승을 따르는 제자들의 무리를 가리켜 소크라테스학파, 피타고라스학파와 같이 ‘학파’라는 용어를 사용하곤 한다. 히포크라테스학파라 할 때는 동시대에 그를 따른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기획] 메테인, 전 세계가 감시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설명했어요. 메테인샛은 지구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으로 대기권에 있는 메테인을
구별
한 뒤 양을 측정합니다. 구글은 위성이 보낸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로 만들 예정이에요. 제작된 지도는 구글 앱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살펴볼 수 있어요.우리나라에서도 2026년 발사를 목표로 메테인 관측 위성을 ... ...
[출동!어린이 기자단] 그래프로 판단해! 거짓말 탐지 검사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7호
어린이 거짓말 탐지 검사관! 거짓말 탐지기는 어떻게 진실과 거짓을
구별
할까요? 멋진 가운을 입은 어린이 기자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찾아가 직접 거짓말 수사를 해 봤어요. 이곳은 강원도 원주시에 있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에요. 윤아현(10) 어린이 기자를 만난 김희송 거짓말 탐지 ... ...
진짜보다 더 진짜 같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실제 인간으로 인식할 확률보다 14.8% 높았지요. 에이미 다웰 교수는 “AI가 만든 얼굴을
구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가려낼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딥페이크, 선거의 방해꾼? 올해는 전 세계 76개국에서 선거가 치러지는 선거의 해입니다. 우리나라도 4월 10일 ... ...
[과학뉴스] 인류의 조상이 두 발로 걸을 수 있었던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서서 걸어 다녔지요. 척추를 꼿꼿하게 세우고 두 발로 걷는 직립보행은 유인원과 인간을
구별
하는 핵심 요소예요. 인류가 언제부터 직립보행을 했는지 많은 과학자들이 밝혀내려 했지만 유인원의 화석이 부족해 알아내지 못했어요. 그러던 중 320만 년 전 지구에 찾아온 빙하기 덕분에 인류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이화여자 대학교 수목원에서의 1박 2일 소리 탐험대 캠프를 다녀오다!!
기사
l
20250831
것이 조금 힘들기도 하였지만 정말 재미있는 체험이였습니다. 평소에 혼자 잡기 힘든 곤충을 잡아 보았고, 매미와 귀뚜라미의 암수
구별
법도 배워서 유용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다음에 이 수목원에 한 번 더 와서 더 다양한 곤충들을 잡아 보고 싶습니다. @ 캠프 마지막 날에 숙소 앞에서 찍은 단체 사진 ... ...
현장 교육
기사
l
20250823
암컷입니다.매미 탈피각을 하나씩 선택해서 암수
구별
하기 퀴즈를 하였습니다.배윤혁 연구원님께서 대원들이 고른 탈피각의 암수
구별
을 하면 한 명 한 명 다 확인해주시며 설명해주었습니다. 해가 지고 어두워지니, 땅 속에서 나오는 매미 약충들을 많이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매미 애벌레를 왜 약충이라고 할까요?매미는 불완전 탈바꿈을 하는 곤충 ...
[오피니언] 무엇이 진정한 성공의 요인인가
기사
l
20250730
발견한 사람들'이라는 책에서 알 수 있다. '아웃라이어(Outlier)'는 '이상치'라는 뜻의 단어로, 평균치에서 크게 벗어나 다른 대상들과
구별
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저명한 저널리스트 말콤 글래드웰(Malcolm Gladwell)이 쓴 이 책에서는 아웃라이어라는 단어를 '평균적인 사람들과 비교하였을 때 남다르고 뛰어난 인재'로 사용한다. 워 ...
미래를 밝힐 인공태양, KSTAR를 방문하다: 핵융합 에너지의 신비
기사
l
20250720
통제됩니다. 방문객에게는 노란색 헬멧이 제공되었고, KFE 소속 연구원들은 흰색 헬멧, 엔지니어들은 주황색 헬멧을 착용하여 신분을
구별
할 수 있었습니다.마침내 KSTAR을 직접 마주하는 순간, 그 거대한 규모에 놀랐습니다. 이미지로만 접했던 것보다 훨씬 웅장하고 은빛으로 빛나는 실물은 직접 현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감동이 있었습니다. 특히 KS ...
왜 우리 지폐의 인물들은 다른곳이 아닌 왼쪽을 보고 있을까?
기사
l
20250628
인물들이 왼쪽을 바라보는 겁니다. 그리고 왜 세계대부분에 화폐에는 인물이들어가는 이유는 인물에 정밀한 색깔로 위조인지 아닌지
구별
하기 쉽다고한다. 둘째, 화폐의 인물들이 오른쪽을 보면 시선이 중앙에 모여 통일감을 준다는것, 그리고 보너스로 최초에 만원권 세종대왕은 왼쪽에 있었고 1979이후 오른쪽으로 바뀌었다 영상으로 보고싶으신분들은 아래영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